콘텐츠목차

농기계공업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438
한자 農機械功業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장섭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농작물을 재배하는 데 사용되는 농업기계를 생산하는 산업.

[개설]

「농업기계화 촉진법」 제2조 제1호에서는 농업기계를 '농림축산물의 생산에 사용되는 기계, 설비 및 그 부속 기자재', '농림축산물과 그 부산물의 생산 후 처리 작업에 사용되는 기계, 설비 및 그 부속 기자재', '농림축산물 생산시설의 환경 제어와 자동화에 사용되는 기계, 설비 및 그 부속 기자재', '그 밖에 농업과 식품산업[농림축산물을 보관, 수송 및 판매하는 산업은 제외한다]에 사용되는 기계, 설비 및 그 부속 기자재' 등으로 정의하고 있다. 통계청의 한국표준산업분류에서는 농기계공업을 농업 및 임업용 기계 제조업으로 규정하고 있다.

[농기계화 추진 실태]

광주광역시의 전답 비율은 25:75로 논농사 위주의 경작 구조이다. 주요 농기계의 하나로 분류되고 있는 경운기는 매년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1988년 3,751대에서 1991년에는 3,466대로 7.6%가 감소하였다. 그러나 트랙터, 이앙기, 콤바인은 보급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트랙터는 1991년 504대로 1988년 대비 12%가 증가하였고, 이앙기는 556대로 연평균 17.6%가 늘어났다. 콤바인은 1991년 472대로 1988년에 비해 14.6%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광주광역시는 경지 면적당 농기계 보급 대수와 농가 호당 농기계 보급 대수는 6대 도시 가운데 최하위 수준이다. 1991년 기준 경운기 1대당 경지 부담 면적은 5.1㏊, 트랙터는 35.0㏊, 이앙기는 20.7㏊로 다른 대도시나 전국 수준보다 높은 편이다. 특히 경운기와 이앙기는 전국 평균보다 2~3배 높은 수준이다. 이같은 광주광역시의 농기계 보급 상황은 광주광역시가 다른 지역에 비해 수작업이 많음을 의미하며, 또한 적기의 영농에 지장을 초래할 수도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광주광역시의 농가가 다른 지역의 농가보다 경제적으로 취약함을 보여주는 일면이기도 하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3.04.27 내용추가 [개설] 통계청 한국표준산업분류 내용 추가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