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394
한자 光州經濟自由區域
영어공식명칭 Gwangju Free Economic Zone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차혜진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경제 및 산업 활동과 관련하여 4개 지구로 구성된 경제자유구역.

[개설]

광주경제자유구역은 '상생과 AI 기반 융복합 신산업 허브'라는 비전을 중심으로, 미래형자동차 산업지구[빛그린산업단지], 스마트 에너지 산업지구I[에너지밸리 일반산업단지], 스마트 에너지 산업지구 II[도시첨단국가산업단지], AI 융복합지구[첨단3지구산업단지]의 4개 지구로 조성되며, 전체 면적은 4,371㎢이다.

각 지구별 개발계획은 다음과 같다. 미래형자동차 산업지구는 광주형 일자리 사업인 광주글로벌모터스와 함께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자율주행자동차 및 전장 분야 기술 고도화를 이루어 나가고, 친환경차 부품 클러스터, 친환경차 부품인증센터 등을 설립하여 친환경 자동차 메카로 조성할 예정이다. 스마트 에너지 산업지구 I· II는 에너지 ICT 융복합 분야를 중심으로 AI 기술을 활용, 연계하여 에너지 효율 향상과 스마트 그리드 분야를 특화해 스마트 융복합 에너지 신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AI 융복합지구는 인공지능 산업융합단지를 중심으로 핵심산업별 인공지능 기술 융합을 통해 산업의 양적 확대와 질적 고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며, 미래 핵심산업인 자동차, 에너지, 생체의료용 소재부품 산업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기술과 관리 플랫폼 구축 기술 등을 융합하여 헬스케어 분야를 중점으로 육성할 예정이다.

[추진 현황]

2019. 1. 28. 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 수립 용역 계약 체결

2019. 12. 27. 경제자유구역 후보지역 선정[산업부]

2020. 6. 3. 광주 AI융복합지구 경제자유구역 공식 지정

2021. 1. 1. 광주경제자유구역청, 광주광역시 산하 출장소 조직 출범

2021. 1. 27. 국내 유일 'AI 경제자유구역' 광주경제자유구역청 개청

2021. 3. 17. 광주경제자유구역청,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2021년 경제자유구역 혁신생태계 조성 지원사업' 혁신 클러스터 기반 조성, 기업 비즈니스 역량 강화 분야 선정

2021. 4. 6. 광주경제자유구역청, 실리콘 밸리 비즈니스 포럼과 업무 협약 체결

[기대 효과]

광주경제자유구역 4개 지구 및 인접 혁신기관을 집적화 및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산·학·연 혁신 생태계를 구축, 글로벌 신산업 거점화 전략을 추진하여 2027년까지 총 1조 6279억 원의 투자 유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