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의료산업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385
한자 醫療産業
영어공식명칭 Medical Industry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차혜진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환자들의 병 치료, 예방, 재활, 완화, 의료기기 등의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

[개설]

광주광역시의 의료산업은 환자들의 병 치료, 예방, 재활, 완화를 위한 상품과 서비스 및 의료기기를 제공하는 경제 산업의 분야를 통틀어 말하며, 국내 의료산업은 통상적으로 의료기기, 의약품, 의료 서비스 산업으로 세부 분류하여 정의하고 있다.

[현황]

광주광역시의 의료산업은 2002년 2개의 기업에 22명의 고용인원이 전부였으나, 2007년 49개사 585명, 2011년 109개사 1,258명, 2014년 230개사 2,026명, 2015년 277개사 2,228명, 2016년 310개사 2,477명, 2017년 367개사 2,735명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매출액 또한 2002년 2억 원에서 2017년 4,466억 원으로 크게 성장하였다.

광주광역시는 의료·헬스케어산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키우기 위하여 지역대학·대학병원·기관 등과 의료·헬스케어산업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첨단 의료복합단지 유치, 대형 의료산업 프로젝트 발굴에 협력하는 등, 단순 의료기기 중심에서 AI 융합 바이오헬스 등으로 산업 확대를 도모하고 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하여 치매 분야로 연구 저변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2021년에는 임상 데이터 기반 근골격계 인체모사 융합기술 지원사업에 최종 선정되었다. 이 사업을 통해 CT, MRI 등 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3D 프린팅을 활용하여 실제 개인별 근골격계와 동일한 3차원 형상의 정밀 인공뼈·관절·의료보조용품 등 인체 대체용 생체의료 소재 부품을 제품화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다. 또 글로벌 기업역량 강화 및 해외시장 진출, 전문인력 양성 등을 지원할 수 있게 되었다.

[비전 및 목표]

최종 비전을 '2030 글로벌 Medi-City 도약'으로 내세운 광주광역시의 의료산업은 규모 확대 및 경쟁력 강화에 목표를 두고 있다. 이는 2030년 지역 내 의료산업 매출액 2조 3천억 원 달성과 4차 산업혁명 대응 의료 신기술 확보 및 의료산업의 선도기업 육성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의료기기 분야의 경쟁력 강화와 바이오 화장품 분야 성장, 의료 서비스 분야 신규 육성을 통해 의료산업 지역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 4차 산업혁명 대응 신기술 확보 및 전문인재 양성과 빅데이터 확보로 신기술 및 융합기술을 확보하며, 의료산업 관련 기업, 병원, 지원기관 및 지자체 간 네트워크 확장을 통해 의료산업 육성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것을 발전 전략으로 삼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