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238
영어공식명칭 An Jongpil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진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64년 7월 3일연표보기 - 안종필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80년 5월 - 안종필 광주상업고등학교 1학년 재학
활동 시기/일시 1980년 5월 20~27일 - 안종필 시민군으로 활동
몰년 시기/일시 1980년 5월 27일연표보기 - 안종필 사망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0년 5월 28일 - 5.18구묘지 안장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7년 6월 - 5.18구묘지에서 국립5.18민주묘지로 이장
학교|수학지 광주동성고등학교 - 광주광역시 남구 서문대로 627번길 20[진월동 406]지도보기
활동지 옛 전라남도청 주변 - 광주광역시 동구 문화전당로26번길 지도보기
묘소 국립5.18민주묘지 - 광주광역시 북구 민주로 200[운정동 563]지도보기
성격 5.18민주화운동 유공자
성별
대표 경력 광주상업고등학교 학생

[정의]

전라남도 광주시에 거주하였던 5.18민주화운동 유공자.

[개설]

안종필[1964~1980]은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광주상업고등학교[지금의 광주동성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이었다. 아들을 밖으로 찾아다니며 말렸던 어머니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안종필은 시민군으로 활동하다가 5월 27일 항쟁 마지막 날 옛 전라남도청에서 계엄군의 총격을 받아 사망하였다.

[활동 사항]

1980년 5월 19일 오전 전라남도 광주시에 있는 모든 학교에 휴교 조치가 내려졌다. 광주상업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이던 안종필도 그날은 집에 있었다. 5월 20일 아침, 안종필은 전화를 받고 학교에 가야 한다며 집을 나선 뒤 밤늦도록 집에 돌아오지 않았다.

아들이 걱정되어 밖으로 찾아 나선 어머니는 광주역 부근 시위 대열에서 안종필을 만날 수 있었다. 안종필은 어머니를 발견하고 교모를 벗어 어머니에게 건넨 뒤 다시 대열로 합류하였다. 5월 21일 오후 전라남도청 앞에서 집단 발포를 하였던 계엄군이 외곽으로 빠져나간 뒤에야 안종필은 집에 돌아왔다. 어머니는 화를 내며 시위에 참여하지 말라고 하였지만 5월 22일에 다시 집을 나섰다.

5월 24일 아들을 찾아나선 어머니는 광주시 동구 산수오거리에서 전라남도청을 향해 가는 시민군 차량에 타고 있는 안종필을 보았다. 어머니는 전라남도청으로 가서 안종필을 찾아내어 집으로 겨우 데려왔지만, 다음날 교련복을 입고 다시 나갔다.

5월 25일 이후 안종필전라남도청을 중심으로 시민군 활동을 하다가, 항쟁 마지막 날인 5월 27일 새벽 도청에서 계엄군의 총격을 받고 사망하였다. 가족들은 5월 28일 광주경찰서에서 걸려 온 전화를 받고 안종필의 시신을 확인한 뒤, 망월묘지공원[5.18구묘지]에 안장하였다. 1997년 6월 국립5.18민주묘지로 이장되었다.

[묘소]

국립5.18민주묘지에 안장되어 있다. 묘지번호는 2-41이다.

[상훈과 추모]

「5.18민주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에 따라 5.18민주화운동 유공자로 인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