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최덕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060
한자 崔德源
영어공식명칭 Choe Deokwon
이칭/별칭 청석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찬모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35년연표보기 - 최덕원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74년 - 최덕원 목포시민의 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83년 - 최덕원 전라남도 문화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94년 - 최덕원 전남문학상 수상
몰년 시기/일시 2011년연표보기 - 최덕원 사망
추모 시기/일시 2001년 7월 - 목포대학교 교수회관에 최덕원 기념문고 개관
출생지 전라남도 광주
성격 문학자
성별
본관 탐진
대표 경력 순천대학교 총장

[정의]

광주광역시 출신의 시인이자 민속 연구자.

[개설]

최덕원(崔德源)[1935~2011]은 전라남도 광주에서 태어났으며, 호는 청석(靑石)이다. 1970~1990년대에 『강강술래』 등의 시집을 출간한 시인이자 『남도민속고』 등의 연구 저서를 출간한 도서 및 해양 민속 연구의 선구자이다.

[활동 사항]

최덕원은 광주서중학교와 광주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문과를 졸업하였다. 이후 조선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목포해양전문대학[지금의 목포해양대학교] 교수, 순천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와 사범대학장, 그리고 순천대학교 총장 등을 역임하였다.

서울대학교 재학 시절 『대학신문』에 발표된 「무명용사」가 1958년 3월 4일자 『조선일보』에 실린 시조시인 이태극의 「사색의 심연」에서 호평을 받았으며, 1969년 「매화」와 1980년 「청산별곡」이 천료(薦了)되어 등단하였다. 한국문인협회, 한국현대시인협회, 한국시조시인협회, 한국시문학회 회원으로 활동하였으며, 두 권의 시집을 발간하였다.

최덕원은 도서 및 해양 민속 연구의 선구자이기도 하다. 1970년대 중반부터 섬 지방의 굿과 당제, 어로 신앙, 들돌 신앙, 우실 신앙, 소금 신앙 등 다도해(多島海) 지역의 민간 신앙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으며, 민속예술과 구비문학을 조사하고 정리하였다. 그리고 '정녀'라는 주인공을 통해 도서 및 해양 지역에 전승되어 오는 민속문화를 생생하게 형상화한 작품을 집필하였는데, 이윤선이 최덕원의 유작을 엮어 『천년의 사랑: 청석 사랑의 섬민속 스토리텔링』으로 출간하였다. 2011년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최덕원이 발간한 시집은 두 권이다. 1978년 제1시집 『강강술래』[전남매일출판국], 1992년 제2시집 『풍각장이』[삼성문화개발]가 있다. 대표 연구 저서로는 1983년 『다도해의 당제』[학문사], 1985년 『한국구비문학대계(6-6, 6-7, 7-12)』[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0년 『남도민속고』[삼성출판사], 1993년 『동편제판소리의 연원과 현장』[정문사] 등이 있으며, 이 밖에 다수의 논문이 있다. 유작 소설로 『천년의 사랑: 청석 사랑의 섬민속 스토리텔링』[민속원]이 2013년에 출간되었다.

[상훈과 추모]

최덕원은 1974년 목포시민의 상, 1983년 전라남도 문화상 인문과학 부문, 1994년 전남문학상 등을 수상하였다.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은 2001년 7월에 최덕원이 기증한 2,100여 권의 서적과 신앙·의례·생업·놀이 등을 기록한 1만 2,000여 장의 필름과 사진, 각종 문서 자료를 정리하여 목포대학교 교수회관 3층에 '최덕원 기념문고'[이후 '청석문고'로 개칭]를 개관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