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양응정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966
한자 梁應鼎
영어공식명칭 Yang Eungjung
이칭/별칭 공섭(公燮),송천(松川)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문다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19년연표보기 - 양응정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40년 - 양응정 생원시 합격
활동 시기/일시 1552년 - 양응정 식년시 문과 합격
활동 시기/일시 1553년 - 양응정 예문관검열 부임
활동 시기/일시 1556년 - 양응정 문과 중시 합격
활동 시기/일시 1557년 - 양응정 공조정랑에서 체직(遞職)
활동 시기/일시 1565년 - 양응정 홍문관수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574년 - 양응정 탄핵 및 파직
활동 시기/일시 1578년 - 양응정 대사성 복직
몰년 시기/일시 1581년연표보기 - 양응정 사망
추모 시기/일시 1570년 - 양응정 선정비 건립
추모 시기/일시 1859년 - 양응정 선정비 재건립
묘소|단소 양송천묘역 -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호동 32-2 지도보기
사당|배향지 광주공원 - 광주광역시 남구 중앙로107번길 15[구동 22-3]지도보기
성격 문무 관인
성별
본관 제주
대표 관직 광주목사|홍문관수찬|대사성

[정의]

조선시대 광주목사, 홍문관 수찬, 대사성 등을 역임한 문신.

[가계]

양응정(梁應鼎)[1519~1581]의 본관은 제주(濟州), 자는 공섭(公燮), 호는 송천(松川)이며 전라도 화순 능주(綾州)에서 태어났다. 증조할아버지는 양담(梁湛), 할아버지는 양이하(梁以河)이다. 아버지는 양팽손(梁彭孫)이며, 어머니는 김화(金話)의 딸 금산김씨(錦山金氏)이다. 양응정의 첫째 부인은 박중윤(朴仲尹)의 딸이며, 둘째 부인은 임구령(林九齡)의 딸이다. 형은 양응태(梁應台)이며, 아들 양산숙(梁山璹)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잘 알려져 있다.

[활동 사항]

양응정은 1540년(중종 35) 생원시에 장원으로 합격하고, 1552년(명종 7) 식년시 문과에 을과로 합격하여 1553년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이 되었다. 1556년(명종 11) 문과 중시에 장원으로 합격하여 호당(湖堂)[독서당(讀書堂)]에 들어갔으며, 홍문관 부수찬(弘文館副修撰)이 되었다. 1557년 양사(兩司)의 탄핵으로 공조정랑에서 체직(遞職)되었으며, 김홍도(金弘度)와 함께 파직되었다. 1562년에 다시 서용(敍用)되어 1565년 홍문관수찬이 되었다. 1574년(선조 7) 경주부윤(慶州府尹)으로 재직 중, 진주목사(晉州牧使)로 있을 당시 청렴하지 못하였다는 이유로 탄핵당하여 파직되었다. 1578년에 성절사(聖節使)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나 성절사 통사(通事) 김수인(金壽仁)이 화원(畫員)을 시켜 중국 관리에게 그림을 그려준 사건으로 다시 파직되었다가 대사성(大司成)으로 복직되었다. 양응정은 한때 광주목사를 역임하였는데, 양응정의 행장에는 1567년(명종 22), 『광주읍지(光州邑誌)』에는 1568년(선조 1)으로 기록되어 있다.

양응정은 은퇴한 뒤로 나주(羅州)에 살면서 정철(鄭澈), 백광훈(白光勳), 최경창(崔慶昌) 등의 제자를 양성하였다. 시문에 능하여 선조(宣祖) 때 팔문장(八文章)의 한 사람으로 꼽혔으며, 효성이 지극해 정문(旌門)이 내려졌다. 또한 양응정은 1569년(선조 2)에 광주 판관(判官) 양사기(楊士奇), 찰방(察訪) 한무선(韓茂善), 전라도관찰사 정종영(鄭宗榮), 의정부 사인(舍人) 이중호(李仲虎), 전라도도사(全羅道都事) 강원(姜源) 등과 함께 무등산(無等山)을 유람하고 입석대에 금석문을 남겼다.

[학문과 저술]

양응정의 저서로는 『송천집(松川集)』과 『용성창수록(龍城唱酬錄)』이 있다.

[묘소]

양응정의 묘소는 양송천묘역[광주광역시 광산구 동호동]에 있다. 양송천묘역에는 진주성 전투에서 순절한 충민공 양산숙의 묘와 손자인 한림학사 양만용(梁曼容)의 묘도 함께 있다. 양송천묘역에는 「양송천선생양공신도비명(梁松川先生梁公神道碑銘)」이 있는데 비문은 민병승(閔丙承)이 지었으며, 광주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상훈과 추모]

광주광역시 광주공원 내에 광주에서 목사로 활동하였던 양응정의 선정을 기리는 '목사양공응정선정비(牧使梁公應鼎善政碑)'가 세워져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