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김백겸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850
한자 金伯謙
영어공식명칭 Kim Baekgyeom
이칭/별칭 자양,양호,광원군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이바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429년연표보기 - 김백겸 출생
활동 시기/일시 1460년 - 김백겸 무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460년 - 김백겸 돈용교위 임명
활동 시기/일시 1461년 - 김백겸 현신교위 임명
활동 시기/일시 1461년 - 김백겸 현의교위·수호군 임명
활동 시기/일시 1461년 - 김백겸 선략장군 임명
활동 시기/일시 1462년 - 김백겸 대호군 임명
활동 시기/일시 1467년 - 김백겸 보공장군 임명
활동 시기/일시 1467년 - 김백겸 적개공신·광원군 책봉
활동 시기/일시 1467년 - 김백겸 의주목사 임명
활동 시기/일시 1470년 - 김백겸 평안도 우후 임명
활동 시기/일시 1474년 - 김백겸 경상좌도병마절도사 임명
활동 시기/일시 1477년 - 김백겸 첨지중추부사 임명
활동 시기/일시 1478년 - 김백겸 황주목사 임명
활동 시기/일시 1481년 - 김백겸 훈련도정·도총부부총관 임명
활동 시기/일시 1485년 - 김백겸 평안도 절도사 임명
몰년 시기/일시 1506년연표보기 - 김백겸 사망
묘소|단소 경기도 성남시 태장동
성격 무관
성별
본관 광산(光山)
대표 관직 평안도절도사(平安道節度使)

[정의]

조선 전기 광주 지역 출신으로 첨지중추부사, 평안도절도사 등을 역임한 무신.

[가계]

김백겸(金伯謙)[1429~1506]의 본관은 광산(光山)이며, 자는 자양(子讓), 시호는 양호(襄胡)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남우(金南雨), 할아버지는 김효로(金孝老), 아버지는 김혁(金革)이고, 어머니는 곽휴(郭休)의 딸 청주곽씨(淸州郭氏)이다. 부인은 허은(許檃)의 딸 양천허씨(陽川許氏)이며, 김백겸은 허씨와의 사이에 3남 1녀를 두었다. 아들은 김한보(金漢寶), 김한필(金漢弼), 김한우(金漢佑)이다.

[활동 사항]

김백겸은 1429년(세종 11) 5월 25일에 태어났으며, 젊어서부터 활과 말을 익혀 무예를 전업으로 삼았다. 1460년 7월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승의교위(承義校尉)·사직(司直)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10월에 세조가 서북 지방을 순행할 때 선전관(宣傳官)이 되어 어가를 수종한 공으로 돈용교위(敦勇校尉)에 제수되었다. 북방 오랑캐가 변방을 침범하여 노략질하자 김질(金礩) 휘하에서 공을 세웠으며, 1461년 그 공으로 현신교위(顯信校尉)에 임명되었다. 얼마 후 도시(都試)에 1등으로 합격하여 현의교위(顯毅校尉)·수호군(守護軍)에 임명되었으며, 이후 선략장군(宣略將軍), 대호군(大護軍), 진위장군(振威將軍), 보공장군(保功將軍) 등을 역임하였다.

김백겸은 1467년 6월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적개공신(敵愾功臣)·광원군(光原君)에 책봉되었다. 이후 의주목사(義州牧使), 평안도우후(平安道虞候), 경상좌도병마절도사(慶尙左道兵馬節度使), 황주목사(黃州牧使) 등의 외직을 역임하였다.

김백겸은 1484년 정조사(正朝使)로 명에 파견되어 베이징[北京]을 다녀왔다. 1485년 평안도절도사(平安道節度使)에 임명되었으며, 1497년(연산군 3) 품계가 가정대부(嘉靖大夫)에 이르렀다. 1506년 1월 26일 78세로 사망하였다. 한편, 김백겸의 5대손 김귀한(金貴漢)과 김정한(金挺漢), 6대손 김방외(金芳外), 김방조(金芳朝)가 모두 임진왜란 때 순절하고 7대손 김봉수(金奉守)가 정유재란 때 의주에서 전사하여 이들을 가리켜 ‘김씨사세육충(金氏四世六忠)’이라 칭하였다.

[묘소]

김백겸의 묘소는 경기도 성남시 태장동에 있으며, 김안국(金安國)이 묘갈명(墓碣銘)을 지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