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유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796
한자 柳洙
영어공식명칭 Yoo Soo
이칭/별칭 중기(仲沂),보천(葆川)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홍창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활동 시기/일시 1534년 - 유수 식년시 병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546년 - 유수 중시 합격
활동 시기/일시 1546년 - 유수 참교(參校) 임명
성격 문관
성별
본관 서산(瑞山)
대표 관직 형조좌랑|예조정랑

[정의]

조선 전기 광주 지역 출신으로 형조좌랑, 예조정랑 등을 역임한 문신.

[가계]

유수(柳洙)의 본관은 서산(瑞山)이며, 자는 중기(仲沂), 호(號)는 보천(葆川)이다. 할아버지는 유정(柳汀), 아버지는 봉훈랑(奉訓郞) 유희송(柳希松)이고, 동생은 『해동명현록』에 입록된 유사(柳泗)이다.

[활동 사항]

유수와 관련한 기록은 많지 않다.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에는 유수가 1534년(중종 29) 식년시에 병과 12위로 급제하였고, 12년 뒤인 1546년(명종 1)에는 중시(重試) 병과 4위로 통과하였으며, 훈련원부정(訓鍊院副正)과 성균관직강(成均館直講)의 벼슬을 역임하였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광주읍지(光州邑誌)』 등에 따르면 관직에 오래 머물지 않고 귀향하였다고 한다. 『중종실록(明宗實錄)』의 1542년(중종 37) 기사에 유수를 형조좌랑(刑曹佐郞)이라 하였고, 『명종실록(明宗實錄)』의 1547년(명종 2) 기사에 예조정랑(禮曹正郞)이라고 한 것으로 보아, 유수가 형조좌랑과 예조정랑을 역임한 것으로 보인다.

유수는 재주가 높고 문장이 능하여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유수를 위해 시를 써 칭송하였다. 유수의 생몰년은 알 수 없으나, 유수의 동생인 유사가 1502년(연산군 8)에 태어나 1571년(선조 4)에 사망하였으므로 유수 역시 이와 비슷한 시기를 향유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