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782
한자 金瑊
영어공식명칭 Kim Gam
이칭/별칭 옥여(玉汝)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홍창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476년연표보기 - 김감 출생
활동 시기/일시 1498년 - 김감 진사시 입격
활동 시기/일시 1504년 - 김감 식년시 을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504년 - 김감 승문원 정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515년 - 김감 지평 임명
활동 시기/일시 1516년 - 김감 헌납 임명
활동 시기/일시 1523년 - 김감 서천군수 임명
활동 시기/일시 1536년 - 김감 전라도 병마절도사 임명
몰년 시기/일시 1538년연표보기 - 김감 사망
묘소|단소 찬성김공감신도비(贊成金公瑊神道碑) -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산164-1 지도보기
성격 문관
성별
본관 광산(光山)
대표 관직 지평|헌납|서천군수|전라도 병마절도사

[정의]

조선 전기 광주 지역 출신으로 지평, 헌납, 서천군수, 전라도 병마절도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가계]

김감(金瑊)[1476~1538]의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옥여(玉汝)이다. 아버지는 김문손(金文孫), 어머니는 울산김씨(蔚山金氏)이다. 김감의 아들은 김홍익(金弘翼)과 김홍보(金弘輔)이다.

[활동 사항]

김감은 1504년(연산군 10) 식년시 을과에 1위로 급제하여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에 임명됨으로써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김감은 감찰(監察), 지평(持平), 헌납(獻納), 집의(執義), 대사성(大司成), 대사헌(大司憲) 등의 관직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장성과 합천, 영광 등에서 외직도 경험하였다. 1523년(중종 18) 왜구가 침입하자 김감은 서천군수(舒川郡守)에 임명되어 왜구를 막아냈고, 이후 충주목사, 남원도호부사, 공조참의 등을 거쳐 1536년(중종 31)에 전라도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가 되었다. 김감은 1538년(중종 33)에 병사하였다.

[상훈과 추모]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산164-1번지[충장사 주변]에 김감의 신도비인 ‘찬성김공감신도비(贊成金公瑊神道碑)’가 있다. 『광주읍지(光州邑誌)』에는 “주의 동쪽 20리 거리인 배재[梨峙]마을에 있는 비석으로, 후손인 면식(冕植)이 이를 세웠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