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732
한자 金陽
영어공식명칭 Kim Yang
이칭/별칭 위흔(魏昕),김위흔(魏昕)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
집필자 문다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활동 시기/일시 836년 - 김양 왕위 쟁탈전에서 패배 후 탈출
활동 시기/일시 838년 - 김양 청해진에서 김우징·장보고와 합세
활동 시기/일시 838년 - 김양 무주 습격 및 남원에서 정부군 격파
활동 시기/일시 838년 - 김양 무주 철야현에서 정부군 격파
활동 시기/일시 839년 - 김양 대구에서 정부군 격파 및 경주 왕성 점령
활동 시기/일시 839년 - 김양 김우징을 왕으로 추대
활동 시기/일시 839년 - 김양 소판 겸 창부령 임명
활동 시기/일시 842년 - 김양 딸을 문성왕의 비로 들임
활동 시기/일시 847년 - 김양 시중 임명
활동 시기/일시 848년 - 김양 시중 사직
몰년 시기/일시 857년연표보기 - 김양 사망
추모 시기/일시 857년 - 김양 서발한으로 추증
추모 시기/일시 857년 - 김양 태종무열왕 능렬 배장
부임|활동지 청해진 -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장좌리 734 일대
묘소|단소 김양묘(金陽墓) -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 1006-1
성격 귀족
성별
대표 관직 고성군 태수|중원소경 대윤|무주도독|소판|창부령|이찬|시중|병부령|서발한

[정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에서 광주 지역의 지방관 등을 역임한 진골 귀족.

[가계]

김양(金陽)의 자(字)는 위흔(魏昕)이며, 태종무열왕의 9대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찬 김주원(金周元)이며, 할아버지는 소판 김종기(金宗基), 아버지는 파진찬 김정여(金貞茹)이다.

[활동 사항]

836년(흥덕왕 11) 12월 흥덕왕이 죽은 뒤 김균정(金均貞)과 김제륭(金悌隆) 사이에 왕위 쟁탈전이 발생하였다. 김양은 김균정을 왕으로 추대하고 적판궁(積板宮)에 들어가 족병(族兵)으로서 숙위하였으나 김제륭 일파의 기습을 받아 패배하였다. 이때 김양은 김제륭의 부하인 배훤백(裵萱伯)이 쏜 화살에 다리를 맞은 채, 포위망을 뚫고 경주 북쪽인 한기(漢岐) 방면으로 탈출하였다.

838년(희강왕 3) 1월에 상대등 김명(金明)이 희강왕을 시해하고 왕위에 오르자, 김양은 2월에 병사를 모집하여 청해진(淸海鎭)으로 떠났다. 이때 청해진에는 김균정의 아들 김우징(金祐徵)이 청해진 대사(大使)인 장보고(張保皐)에게 의탁하고 있었다. 김양은 김우징·장보고와 함께 민애왕(閔哀王)을 타도하기로 모의하고 838년(민애왕 1) 3월 병사 5,000명으로 무주를 습격, 함락시키고 다시 남원으로 진출하여 정부군을 격파하였다. 그러나 병사들이 피로한 기색을 보이자 일단 청해진으로 철수하였다가 다시 838년 12월에 평동장군(平東將軍)으로서 장보고 휘하의 강병 5,000명을 이끌고 경주로 진격하였다. 이때 김양은 기병 3,000명을 거느리고 무주 철야현(鐵冶縣)으로 이동하여 김민주(金敏周)가 이끄는 정부군을 섬멸하였다.

839년(민애왕 2) 1월에는 대구(大丘)로 진격하여 민애왕의 군대를 역습하고 왕도 죽였다. 이로써 경주의 왕성(王城)을 수복한 김양은 4월에 김우징을 왕으로 추대하였다. 이때 배훤백을 비롯한 귀족과 백성을 수습하였다. 839년(신무왕 1) 7월 신무왕(神武王)이 재위 3개월 만에 죽자 아들 문성왕(文聖王)이 즉위하였는데, 김양은 소판(蘇判) 겸 창부령(倉部令)을 제수받았다. 김양은 그 뒤 이찬(伊飡)에 오르고, 847년(문성왕 9) 8월 시중(侍中)이 되었으며, 곧 병부령(兵部令)에 임명되었다. 또한, 당나라로부터 검교위위경(檢校衛尉卿)을 받았다. 김양은 857년(문성왕 19) 8월 13일에 50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묘소]

김양은 857년(문성왕 19) 12월 8일 태종무열왕의 능렬(陵列)에 배장(陪葬)되었다. 김양의 묘소는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 1006-1번지에 있으며, 경상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상훈과 추모]

김양이 사망하자 문성왕은 김양을 서발한(舒發翰)으로 추증하고, 부의(賻儀)와 장례를 모두 김유신(金庾信)의 예에 따르게 하였다.

[참고문헌]
  • 『삼국사기(三國史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
  •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