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633
한자 日新齋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로41번길 41-8[일곡동 567]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한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축|증축 시기/일시 1986년 - 일신재 중수
현 소재지 일신재 -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로41번길 41-8[일곡동 567]지도보기
성격 재실
양식 팔작지붕
정면 칸수 4칸
측면 칸수 2칸
관리자 광산노씨 문중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에 있는 광산노씨(光山盧氏) 재실.

[개설]

일신재(日新齋)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 일곡마을에 있으며, 고려 후기 문신인 노준공(盧俊恭)[1340~1397]과 조선 중기 문신인 노희서(盧希瑞)[1558~1592]를 모신 사우인 절효사(節孝祠)와 같이 있다. 원래 자리에는 사우가 있었는데, 사우가 철폐되면서 일신재로 이름을 바꿨다. 일신은 대학(大學)에 있는 '苟日新日日新又日新(구일신일일신우일신)'에서 따왔다. 일신재 현판 옆에 '講堂(강당)' 현판이 같이 있어 원래 사우의 강학 공간으로 사용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1986년 일신재 뒤에 절효사가 다시 세워지면서 수리를 하였다.

[위치]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로41번길 41-8[일곡동 567]에 있다.

[변천]

일신재는 건립된 시기와 사우가 철폐된 시기 및 일신재로 바뀐 시기를 알 수 없다. 다만, 1924년에 작성된 광주읍지에 내용이 있는 것으로 보아, 그 전에 일신재로 바뀌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1986년 절효사가 세워지면서 일부를 수리하였다.

[형태]

정면 4칸 측면 2칸이며, 지붕은 팔작지붕 건물이다.

[현황]

일신재에는 26개의 시문이 적힌 현판이 있다. 절효사와 같이 광산노씨 문중에서 관리한다. 일곡마을광산노씨 문중의 집성촌이다.

[의의와 평가]

일신재는 사우가 철폐된 이후 건물을 어떻게 사용했는지, 이에 따른 건물 성격 및 변화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곳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