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125
한자 帝國館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유적/건물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강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27년연표보기 - 광남관 개관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32년[추정] - 광남관에서 제국관으로 개칭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55년 - 무등극장 개관
현 소재지 11번가 - 광주광역시 동구 충장로 102-12[충장로1가 25-1]지도보기
원소재지 제국관 - 전라남도 광주군 광주면 북문통
성격 극장
소유자 구로세 도요조[黑瀨豊藏]

[정의]

1932년 전라남도 광주군 광주면 북문통에 개관한 극장.

[개설]

제국관(帝國館)은 1927년에 개관한 광남관(光南館)의 후신으로, 관주(館主)는 일본인 구로세 도요조[黑瀨豊藏]였다. 일본 도호[東寶]영화사의 전속 극장이기도 하였다.

[위치]

광주도시철도1호선 문화전당역 3번 출구 방향으로 나가서 우측 블록에 있었다. 좌측은 아시아음식문화거리이다.

[변천]

1927년 광남관으로 개관하여 1932년 제국관으로 개칭한 것으로 추정된다. 1936년에는 광일지(光日紙)의 독립을 기원하는 광주부민(光州府民)의 단결 대회가 개최되기도 하였다. 광복 이후 공화극장(共和劇場), 동방극장(東方劇場)으로 이름을 두 번 더 바꾸었다. 1955년 오늘날 가장 널리 알려진 무등극장(無等劇場)이라는 이름으로 개관하였다. 무등극장은 시대의 변화에 발맞추어 멀티플렉스로까지 진화하였으나 경영난으로 2012년 폐관하였다.

[형태]

제국관은 건물 상하층과 장외까지 포함해 총 670여 명의 관객을 수용할 수 있었다고 전해진다.

[현황]

1945년 광복 후 일제의 적산(敵産)으로 처리되었다. 극장에서 오래 일했던 전기섭(全起燮)이 불하(拂下)를 받고, 지배인이었던 최흥열(崔興烈)이 경영을 전담해 공화극장, 동방극장이라는 이름으로 극장을 운영하기도 하였다. 현재 제국관이 있던 자리에는 극장이 아닌 다양한 업종의 점포가 운영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광주좌(光州座)와 마찬가지로 일본인이 우선시 되었던 차별적 공간이었다. 1931년 광주좌가 불타고, 1935년 광주극장(光州劇場)이 등장하기 전까지 전라남도 광주 지역에서 유일하게 영화 상영을 위한 설비가 완비된 극장이었다는 의의를 갖는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