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5.18민주화운동기록물 - 국회의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 회의록』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899
한자 五一八民主化運動記錄物-國會-五一八民主化運動眞相糾明會議錄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문서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양라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작성 시기/일시 1988년 7월 8일~1989년 12월 30일연표보기 - 『5.18민주화운동기록물 - 국회의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 회의록』 작성
문화재 지정 일시 2011년 5월 25일연표보기 - 『5.18민주화운동기록물 - 국회의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 회의록』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지정
소장처 국회도서관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1[여의도동 1]
성격 문서
용도 청문회 회의 진행 사항, 내용, 결과 기록

[정의]

1988년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을 위해 열린 국회 청문회 회의록.

[개설]

5.18민주화운동의 실체적 진실을 규명하기 위해 열린 국회의 청문회 진행 사항, 내용, 과정을 기록한 회의록이다.

[제작 발급 경위]

『5.18민주화운동기록물 - 국회의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 회의록』은 1988년 국회에서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을 위해 개최된 청문회의 회의록이다. 1988년 제13대 국회에 '5.18민주화운동 진상조사 특별위원회'가 구성되었고, 5.18진상규명을 위한 청문회가 총 17회 개최되었다. 현재 국회도서관에서 보존·관리하고 있다.

[형태]

『5.18민주화운동기록물 - 국회의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 회의록』은 '5.18진상규명 국회특별위원회' 청문회 자료이다. 회의록에는 위원들의 질의, 증인 및 참고인의 답변, 청문회 진행 과정이 공개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구성/내용]

1988년 제13대 국회에서 진행된 '5.18진상규명 국회특별위원회 청문회'는 5.18민주화운동의 발생 배경, 집단발포 명령권자와 책임 소재, 미국의 책임 여부, 5.18민주화운동의 성격 규정이라는 네 가지 중요한 쟁점을 놓고 5.18민주화운동의 진실을 밝히기 위해 진행되었다. 회의록에는 질의 응답, 진술 청취 형태로 회의 진행 과정이 기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5.18민주화운동기록물 - 국회의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 회의록』은 1988년 국회에서 5.18민주화운동의 진상을 규명하기 위해 국회특별위원회가 구성되었고, 이에 따라 증인·참고인 등의 증언 및 진술 청취가 이뤄진 공개적인 자료로 역사적 의미와 가치가 인정되어 2011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