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광주시사』[1982]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889
한자 光州市史1982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서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79년연표보기 - 『광주시사』 1[1982] 간행
간행 시기/일시 1980년 - 『광주시사』 2[1982] 간행
간행 시기/일시 1982년 - 『광주시사』 3[1982] 간행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 60-1]
소장처 전남대학교 도서관 -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77[용봉동 300]지도보기
간행처 광주시사편찬위원회 - 전라남도 광주시
성격 향토지
편자 광주시편찬위원회
표제 광주시사

[정의]

광주시편찬위원회에서 1979~1982년에 펴낸 향토지.

[편찬/간행 경위]

전라남도 광주시의 역사를 정립하여 후세에 전할 목적으로 광주의 역사를 정리한 것이다. 1966년에 『광주시사(光州市史)』가 발간되었으나, 광주시의 생장과정을 통람하는 데는 미흡한 점이 적지 않아 내용을 더욱 충실하게 하고자 『광주시사』[1982]를 다시 발간하였다.

[서지적 상황]

국립중앙도서관과 전남대학교 도서관 등에서 소장하고 있다.

[형태]

총 3책이고, 크기는 26㎝이다.

[구성/내용]

1권은 1편 총론, 2편 선사시대, 3편 마한시대, 4편 백제시대, 5편 통일신라~후백제시대, 6편 고려시대, 7편 조선왕조 전기, 8편 조선왕조 후기, 9편 최근세로 나누어져 있다. 1편 총론은 서설, 자연환경, 인구로 구성되었다. 2편 선사시대는 서설[석기시대의 광주], 지리적 조건, 선사시대의 유적로 구성되었다. 3편 마한시대는 문헌을 통하여 본 마한시대, 유적 유물로 통해 본 마한시대의 광주로 구성되었다. 4편 백제시대는 백제의 성장과 광주, 백제의 정치조직과 광주, 백제의 문화와 광주로 구성되었다. 5편 통일신라~후백제시대는 통일신라의 지방조직 재편, 통일신라의 경제성장으로 구성되었다. 6편 고려시대는 지방제도의 성립과 광주, 광주의 재정구조, 외래족의 침입과 광주로 구성되었다. 7편 조선왕조 전기는 조선왕조 초의 사회적 제도, 당쟁과 광주로 구성되었다. 8편 조선왕조 후기는 조선왕조 후기의 제도개편, 당쟁과 세도정치로 구성되었다. 9편 최근세는 대원군의 집정과 광주, 동학혁명과 광주로 구성되었다.

2권은 일제 침략 하의 36년간과 8.15광복 후의 정치편을 수록하였다. 10편 일제침략시대, 11편 광복 이후로 나누어져 있다. 10편 일제침략시대는 광주면·읍·부시대의 행정, 일제하의 산업경제, 3.1독립운동, 광주학생독립운동, 교육, 문화로 구성되었다. 11편 광복 이후는 정치를 다루었다.

3권은 2권의 후속으로 해방 이후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등 전반에 걸친 광주시의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것이다. 11편 광복 이후에서 행정, 교통·통신, 경제, 교육, 문화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였다.

편년체(編年體)로 기술하였고, 1권 말미의 문화재·전설·명승은 일괄 편집하였다. 내용의 기술은 국사(國史)와의 관계를 포괄적으로 하였으되, 가급적 시사(市史)를 부각시켜 시사의 고립화를 방지하고자 하였다. 또한, 시사의 사료가 망실된 경우에 있어서는 전 국사적인 기술로 보완하였다. 문장은 국한문 혼용으로 하였다. 고유명사, 특히 일본의 인명·지명에 대해서는 일본어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였다.

[의의와 평가]

조선시대부터 광복 이후까지의 전라남도 광주시의 역사 및 문화 등 각종 다양한 정보를 망라한 책이다. 1966년에 발간된 『광주시사』의 내용을 대폭 보완하였다.

[참고문헌]
  • 『광주시사』(광주시사편찬위원회, 1982)
  •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도서관(https://www.nl.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