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657
한자 白鷺
영어공식명칭 Herons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동물/동물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성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지역 출현 장소 백로 - 광주광역시
성격 조류
학명 Ardeidae
생물학적 분류 척삭동물문〉조류강〉황새목〉백로과
서식지 해안|습지|물가
몸길이 30~140㎝
새끼(알) 낳는 시기 4~6월

[정의]

광주광역시 광산구를 상징하는 구조.

[개설]

백로는 광주광역시 광산구를 대표하는 새로서 광산구에 이어지는 고고한 선비 정신을 상징한다.

[형태]

백로는 황새목 백로과의 조류이다. 부리, 목, 다리가 긴 물새이며, 우리나라에는 9속 18종이 기록되어 있다. 집단 번식하는 백로과 조류 중 중대백로, 쇠백로, 중백로의 깃털은 모두 흰색이다.

[역사/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백로는 목과 다리가 길고, 자태가 아름다워 길조이자 선비의 새로 여겨져 왔다. 이러한 백로의 특징으로 "까마귀 노는 곳에 백로야 가지 마라."와 같은 시조가 창작되기도 하였다.

[생태 및 사육법]

백로는 대부분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번식하기 위하여 우리나라를 찾아오는 여름철새이며, 일부의 개체가 우리나라에서 월동한다. 극지방을 제외한 전역에 분포하며 물고기, 새우, 개구리 등을 먹이로 한다. 많은 종들이 3~4월 번식지에 도착하여 둥지를 튼다. 산란기는 4~6월이며, 5~7월에 새끼를 키우고, 7월~8월에 성장한 새끼는 둥지를 떠난다. 3개~6개의 알을 낳는다.

[현황]

백로는 광주광역시에서는 광산구 선암동[호남대학교] 근처에 번식한다. 2011년, 2014년 조사 결과 도심 주변의 대학 캠퍼스 인근 야산에서 번식지를 찾아볼 수 있으며, 대부분의 백로류가 인근 농경지와 하천 등에서 먹이활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