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655
영어공식명칭 Korean Red Pine
이칭/별칭 솔,솔나무,소오리나무,적송,육송,여송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식물/식물(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홍행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식물
학명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생물학적 분류 식물계〉구과식물문〉구과식물강〉구과목〉소나무과〉소나무속〉소나무
원산지 한국|중국|일본
높이 35m
개화기 5월
결실기 9~10월

[정의]

광주광역시 광산구의 구목인 소나무과의 상록성 침엽교목.

[개설]

소나무의 수려한 자태와 씩씩한 기상, 곧은 지조가 광주광역시 광산구 구민의 정신과 맥을 같이 한다는 점에서 광산구의 구목으로 지정되었다. 구과식물 중에서 원예종 또는 식재종으로 많이 이용되는 종으로 광주광역시는 청사 앞에 수형이 좋은 소나무를 여러 그루 이식하여 소나무숲을 조성하여 가고 있다. 광주광역시에 새로 설치되는 교통섬들에도 적극적으로 소나무를 조경용으로 식재하고 있으며, 도심 속 ‘미세먼지 차단 숲’을 조성할 때 소나무를 같이 식재하여 경관적 요소를 고려하고 있다.

[형태]

소나무는 사계절 푸른 바늘모양의 잎을 가진 키큰나무이다. 암수한그루로 5월에 새 가지 끝에 달리는 수꽃은 황색으로 꽃가루에 달린 공기주머니 때문에 약한 바람에도 잘 날린다. 암꽃은 수꽃차례 위에 달리며 자주색이다. 수정이 되면 열매는 다음해 9~10월에 결실한다.

[생태]

소나무는 광주광역시에 식재된 개체나 무등산국립공원에 자생하는 개체나 모두 잘 자란다.

[역사/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소나무는 추운 겨울철에도 푸르러서 곧은 절개와 기상을 나타내고, 수명이 길어 십장생(十長生)의 하나로 삼았다. 줄기와 가지, 잎이 아름다운 조화를 이루어 조경용으로 심었으며, 목재는 가구용이나 도구용으로 많이 쓰이고, 어린 잎은 식용으로, 줄기의 마디는 관절염 치료에 사용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 조무연, 『원색한국수목도감』(아카데미서적, 1996)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http://www.nature.go.kr)
  • 광주광역시-시정소식_보도자료(https://www.gwangju.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