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493
한자 淸巖橋
영어공식명칭 Chengamgyo Bridg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도로와 교량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청풍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백현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준공 시기/일시 1967년연표보기 - 청암교 준공
증설|폐설 시기/일시 1996년 - 청암교 재가설
전구간 청암교 - 광주광역시 북구 청풍동 제4수원지
해당 지역 경유 구간 청암교 - 광주광역시 북구 청풍동 제4수원지지도보기
성격 교량
길이 120m
차선 2차선[왕복]
10m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청풍동 제4수원지에 자리한 교량.

[개설]

광주광역시 북구에 설치된 2종교량으로, 청풍동에 있는 제4수원지[호수]를 건널 수 있도록 가설된 교량이다.

[명칭 유래]

청암교는 푸른 바위 위에 있는 다리라는 뜻으로 지어진 교량명이다. 1967년 제4수원지가 완공됨과 동시에 건립되었으며, 현재는 인근의 산맥과 제4수원지의 경관을 아우르는 조경물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다.

[제원]

청암교는 왕복 2차선으로 총 길이는 120m, 총 폭은 10m, 유효 폭 7m, 높이는 12m이다. 경간 수는 3개이고, 최대 경간장은 47.5m이다. 상부구조 형식은 강판형교이고, 하부구조 형식은 T형 교각식이다. 설계하중은 DB-24가 적용된 1등교량이다.

[건립 경위]

청암교는 급수 목적으로 준공된 제4수원지 활용에 필요한 교통로 확보를 위하여 가설되었다.

[변천]

청암교는 1967년 제4수원지가 완공됨과 동시에 건설되었다. 당시에는 총 길이 75m, 폭 6m의 교량으로 지금의 청암교와 비교해서는 작은 교량이었다. 그러나 1995년 광주광역시에서 교량을 재점검하고 붕괴 위험이 높은 노후교량을 교체하는 사업을 진행하면서 청암교를 비롯한 학림교, 광주대교, 유촌교의 재가설이 결정되었다. 1996년에 재가설되어 지금과 같은 모습을 가지게 되었다.

[현황]

청암교는 본래 급수 목적으로 준공된 제4수원지 활용에 필요한 교통로 확보를 위하여 지어졌지만, 동복수원지의 건설 이후 그 역할이 줄어들어 현재는 제4수원지의 경치를 아우르는 조경물의 역할을 하고 있다. 청암교무등산국립공원의 명소이며, 무등산 일대를 오르는 등산객들의 중요한 길목 역할을 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