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457
한자 第二循環路
영어공식명칭 Je2sunhwan-ro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도로와 교량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윤희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준공 시기/일시 1995년 1월연표보기 - 제2순환로 동광주나들목~각화사거리 준공
준공 시기/일시 1995년 1월 15일연표보기 - 제2순환로 지원나들목~효덕나들목 준공
준공 시기/일시 1998년 5월 1일연표보기 - 제2순환로 각화나들목~두암나들목 준공
준공 시기/일시 2001년 1월 1일연표보기 - 제2순환로 두암나들목~지원나들목 준공
준공 시기/일시 2002년 3월 5일연표보기 - 제2순환로 풍암나들목~서창나들목 준공
준공 시기/일시 2004년 5월 26일연표보기 - 제2순환로 용산나들목 준공
준공 시기/일시 2004년 10월 15일연표보기 - 제2순환로 효덕나들목~풍암나들목 준공
준공 시기/일시 2007년 5월 15일연표보기 - 제2순환로 산월나들목~서창교차로 준공
준공 시기/일시 2007년 9월 19일연표보기 - 제2순환로 각화나들목~문흥나들목 준공
준공 시기/일시 2008년 2월 26일연표보기 - 제2순환로 진월나들목 준공
준공 시기/일시 2009년 12월 17일연표보기 - 제2순환로 문흥나들목~문흥분기점 준공
전구간 제2순환로 - 광주광역시
해당 지역 경유 구간 제2순환로 - 광주광역시
성격 도로
길이 27.81㎞

[정의]

광주광역시의 시내 외곽을 둘러싸는 도시 고속화 도로.

[개설]

제2순환로는 1992년에 착공하였고, 1995년부터 순차적으로 개통하여 2009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다. 제2순환로 안쪽은 원도심이며 광주광역시 시내 간선도로 역할을 하고 있다. 시가지 외곽에 자리한 택지개발지구를 신속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명칭 유래]

제2순환로는 광주광역시 두 번째 순환로로 대남대로~죽봉대로~서암대로~필문대로로 이어지는 도로망이다.

[제원]

제2순환로의 기점은 광주광역시 북구 문흥동 문흥분기점이고, 종점은 광산구 수완동 산월나들목까지이다. 총연장은 27.81㎞이다.

[건립 경위]

1992년 10월 1일에 착공하여 1995년 1월 15일 지원나들목~효덕나들목 구간이 가장 먼저 개통되었다. 제2순환로각화대로 구간을 포함해 동광주나들목에서 시작해 각화나들목을 거쳐서 입체도로를 건설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입체도로 건설 시 발생할 교통 체증 우려와 지하차도 건설의 기술적 어려움으로 인해 문흥분기점을 새로 신설했고, 문흥분기점에서 호남고속도로와 접속하는 것으로 계획이 변경되었다. 2009년 12월 17일 문흥분기점이 개통되면서 전 구간이 완공되었다.

[변천]

제2순환로 구간 중 일부 민간 자본에 의해 건설된 구간이 있어 각 3개 요금소에서 통행료를 징수하고 있다. 2016년 2월부터 하이패스 시스템의 도입되어 2016년 7월 1일부로 송암요금소에서 하이패스 사용이 가능해졌으며, 9월 1일부터 마지막 소태요금소까지 전구간 하이패스 사용이 가능해졌다.

[현황]

제2순환로로 지정된 구간을 보면 주로 동남서쪽에 도로가 개설되어 있고, 북쪽은 호남고속도로로 연결된다. 호남고속도로제2순환로와 2개의 접점[산월나들목, 문흥분기점]이 있는데, 두 개 사이 구간이 광주광역시 시내 무료 구간에 속해 있어 제2순환로와 함께 도시고속도로 역할을 하고 있다. 2009년 7월 27일에 제2순환로도 도로명주소가 생겼는데, '2순환로'이다. 3개 구간으로 나눠 민자사업으로 건설된 도로이기 때문에 승용차 기준 1,200원을 징수하는 요금소가 동, 남, 서쪽 구간에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참고로 3개 요금소 회사가 모두 다르다.

소태요금소 : 광주순환도로투자에서 운영하는 요금소. 동쪽 구간에 자리한다.

송암요금소 : 광주순환에서 운영하는 요금소. 남쪽 구간에 자리한다.

유덕요금소 : 광주제2순환도로주식회사에서 운영하는 요금소. 서쪽 구간에 자리한다.

[참고문헌]
  • 광주광역시청(http://www.gwangju.go.kr)
  • 광주순환도로투자(주)(https://www.kbicl.co.kr/business)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