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풍수지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118
한자 風水地理
영어공식명칭 Geomancy
이칭/별칭 풍수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경수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음양오행설을 기초로 땅에 관한 이치를 설명하는 이론.

[내용]

광주광역시는 무등산 자락의 북서편에 시가지가 자리하고 있어 음지뜸이다. 어등산용진산 자락의 남동편으로 자리한 송정시가지와 광산구의 행정동인 본량동은 양지뜸이다. 응달 형세의 구도심은 북하늬바람에 대비한 사직산, 성거산, 덕림산과 유림숲이 비보(裨補)이다. 영산강을 중심으로 극락강광주천이 합류되는 곳에 서구의 행정동인 상무동과 치평동 일대로 새 도심이 형성되었다. 황룡강과 합류하는 광주공항과 서창 일대는 큰 벌판이 형성되어 있다. 지석강과 합류되는 남구평동천, 장성천과 합류하는 광산구 영산강 일대는 전라남도 나주시 금성산과 접하고 있다.

광주광역시 행정구역에 속하는 25개 지역의 풍수를 살핀 결과, 맹호출림, 황계포란, 옥등괘벽, 금반옥호 형국을 살필 수 있었다. 배 형국으로는 광산구 신가동 선창, 남구 송암동 임정, 북구 문흥동 평교를 들 수 있다. 마을숲으로 단연 명도동 명곡마을임정마을이 본보기이다. 조산으로는 광산구 신룡동 복룡마을 솔무대기, 북구 양산동 양지마을 조산, 광산구 동곡동 조산마을이 그 예이다. 화산(火山)이나 화기(火氣)에 관한 곳으로는 용진산, 음양에 관한 것으로는 지산 자진머리와 등촌 고초시암, 키 형국은 본량 신흥마을, 옛치소와 관련 복룡현과 여황현을 언급할 수 있다. 결국 광주광역시의 풍수는 우리나라 지리의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배산임수(背山臨水)에 따른 이상형인 경우에 반하여 부족함에 대한 보완이나 과도함에 대한 억제장치로 만든 것이다. 이를테면 비보, 염승(厭勝), 수구막이, 액막이, 재액(災厄), 진호, 수호신, 음양조화 따위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