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004
한자 地質
영어공식명칭 Geological Features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현기순

[정의]

광주광역시의 지각을 구성하고 있는 암석이나 토양의 구조 및 종류와 분포 상태.

[지체의 형성]

광주광역시는 영산강 분지의 북동쪽 끝자락에 자리한다. 영산강 분지의 지체는 오랜 지질시대를 통하여 수차례에 걸친 지각 변동과 강수에 의한 침식 및 풍화 작용에 의해 형성되었다. 광주광역시 일대에는 변성암의 일종인 편마암류가 분포한다. 이러한 암석들은 대체로 중생대 말기에 발생했던 여러 차례의 지각변동과 화산활동에 의해 관입한 암석이 각 지각변동 시기와 백악기 이후의 융기작용과 삭박작용으로 지표에 드러나게 된 데에서 기인한다.

또한 이 시기에 좌우 횡압력에 의해 지각이 구부러지거나 끊어지는 현상으로 인하여 퇴적분지인 광주함몰대[영산강 분지]가 형성되었다. 그 후 약 7천만 년 전까지 광주함몰대 일대에서는 몇 차례의 화산이 분출하여 무등산이 형성되었고, 무등산은 중생대 백악기에 퇴적된 진앙층군[셰일·사암·역암] 및 능주층군[셰일·응회암], 유천층군[화산각력암]과 유문암, 안산암 등으로 이루어졌다. 한편 광주광역시 서북쪽인 극락강황룡강 일대의 저지대에는 신생대 제4기 충적세에 퇴적된 충적층이 나타난다.

[암석의 분포]

한반도의 지질은 거의 반 이상이 고생대 이전의 시생대(始生代)와 원생대(原生代)의 변성암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지반이 비교적 안정한 상태를 유지한다. 광주광역시는 전라남도 북서부 지역들과 함께 지질구조상 옥천변성대에 해당한다. 옥천변성대는 소백산육괴와 경기육괴 사이에 끼여 있으면서 과거에 옥천조산대와 함께 옥천지향사로 묶여 있었으나, 1970년대 이후 지금과 같이 구분되었다. 광주광역시 지역에는 선캄브리아기 편마암복합체를 기저로 고생대 변성퇴적암류와 이들을 관입하는 트라이아이스기-쥐라기 화강암류, 백악기 화강암류, 그리고 선백악기 화성암류를 부정합적으로 덮는 백악기 화산암류-퇴적암류가 분포한다. 비교적 평탄한 평야부와 구릉지가 형성되어 있는 광주광역시의 서부에는 연천계의 화강암화된 오랜 암석층이 나타난다. 광주광역시 중앙부를 관통하는 극락강, 영산강황룡강 일대의 저지대에는 신생대 제4기 충적세에 퇴적된 충적층이 주로 나타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