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승람(東國輿地勝覽)』 고적조(古蹟條)와 『광주읍지(光州邑誌)』 고적조에 기록된 석서정(石犀亭) 은 돌물소[石犀]의 정자라는 뜻으로 곧 수재를 막기 위한 취지에서 정자 이... 『동문선(東文選)』 에는 이색(李穡) [1328~1396]의 「석서정기문(石犀亭記文)」 이 전한다. “ 석서정 은 매년 여름에 장마가 들면 급류가 사...
-
...(參奉)을 역임한 정낙교(鄭洛敎) 가 고려 후기 광주천 의 가운데에 건립되었던 석서정(石犀亭) 을 떠올림과 동시에 자기 심신의 위안처로 삼기 위하여 1914년 건립하였다... 있고 통기타 라이브 카페거리 가 맞은편에 있다. 고려 후기 광주천 에 있던 석서정 의 옛터였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보아, 정낙교 가 이미 폐정된 석서정 옛터에 ...
-
...식(孫仁植) , 김태열(金泰烈) , 최정두(崔正斗) , 김복현(金福鉉) , 김강(金剛) , 서정희 등이었다. 3월 8일 부동교 아래 백사장에 작은장, 석서정(石犀亭) 앞에 큰장이 서자 호남 각지에서 장꾼들이 모여들었다. 그러나 만세운동을 추진하는 데 준비 기간이 짧아서 다시 작은장날인 3월 10일 오후 3시 30분으로 계획을...
-
...사전 준비를 하였다. 광주 큰장날인 1919년 3월 8일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의하였다. 지금의 부동교(不動橋) 부근 넓은 백사장에 작은장이 섰고, 석서정(石犀亭) 앞 천변에 큰장이 섰다. 광주 의 큰장과 작은장은 호남 지방의 대표적인 장으로 장날이면 호남 각지에서 장꾼들이 모여들었다. 그러나 광주 3.1운...
-
...을 추진하기에는 준비 기간이 짧아서 다시 작은장날인 3월 10일 오후 3시 30분으로 계획을 변경하였다. 부동교(不動橋) 부근 넓은 백사장에 작은장이 섰고, 석서정(石犀亭) 앞에 큰장이 섰다. 광주천 변의 큰장과 작은장은 호남 지방의 대표적인 장으로 장날이면 호남 각지에서 장꾼들이 모여들었다. 1919년 3월 10일 오후 3...
-
... 전라남도 광주군 의 큰장날인 1919년 3월 8일을 이용하여 광주 3.1운동 을 전개하기로 결의하였다. 부동교(不動橋) 부근 넓은 백사장에 작은장이 섰고, 석서정(石犀亭) 앞에는 큰장이 섰다. 광주천 변의 큰장, 작은장은 호남 지방의 대표적인 장으로 장날이면 호남 각지에서 장꾼들이 모여들었다. 그러나 광주 3.1운...
-
...에 딸린 누정이 공루이고, 민간에서 개인이나 마을 또는 문중이 중심이 되어 지은 것이 사루이다. 지금은 전하지 않으나 고려 말 광주목사(光州牧使) 김상(金賞) 이 세웠다는 석서정(石犀亭) 이 바로 공루 성격의 누정이다. 16세기 조선 중기에 이르러 누정 건립이 본격화되는데, 공루에 비해 사루 건립이 현저히 많다. 이에 따라 전라도 광주 지역에 현...
-
...간이 짧아서 다시 작은장날인 3월 10일 오후 3시 30분으로 계획을 변경하였다. 광주 장(場)은 부동교(不動橋) 부근 넓은 백사장에서 작은장이 열렸고, 석서정(石犀亭) 맞은편 천변에서 큰장이 열렸다. 광주 의 큰장과 작은장은 호남 지방의 대표적인 장으로, 장날이면 호남 각지에서 장꾼들이 모여들었다. 1919년 3월 10...
-
...국시대였다고는 하지만, 전라남도 지역 누정은 고려 중기부터 살펴볼 수 있는데, 진도 벽파정 , 순천 연자루 , 나주 쌍계정 , 광주 석서정 , 경렴정 , 담양 독수정 등이 있다. 광주 의 경렴정 및 담양 의 독수정 은 고려 말기에서 조선 초기라는 정권 교체기에 개인의 은거나 퇴휴를 ...
-
...대추나무'까지 동원된 것으로 추정된다. 『동문선』 에 이색 의 「석서정기」 가 나온다. 석서(石犀)란 ‘돌을 깎아 만든 물소'라는 뜻이다. 광주천 범람... 석축을 쌓고, 섬[島]을 만들어 그 위에 세웠다는 정자가 석서정 이라는 주장이 있다. 본디 자리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광주공원 동편 천변로에 석서정 을 복원하여 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