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광주여, 오월이여 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5714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행사/행사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은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창작 시기/일시 1990년연표보기 - 광주여, 오월이여 전 창작 전시
성격 민중미술 전시회
작가 신학철|류연복|최민화|권용택|이종구

[정의]

1990년 5.18민주화운동 10주년을 맞아 서울특별시 인사동에 있는 ‘그림마당 민’에서 열린 전시.

[개설]

광주여, 오월이여 전’은 1990년 젊은 미술인들이 5.18민주화운동 10주년을 맞아 당시 반독재정권을 표방하며 미술인들을 불러 모으던 인사동 전시장 ‘그림마당 민’에서 개최한 전시이다.

[연원 및 개최 경위]

1986년 3월에 문을 연 ‘그림마당 민’은 대한민국 미술이 역사상 처음으로 사회운동의 주체가 된 1980년대 중요한 전시 공간으로 자리매김하였고, 민족미술인협의회와의 긴밀한 협력으로 민중미술을 대중에게 소개하는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광주여, 5월이여 전’은 ‘그림마당 민’과의 유기적 결합을 통하여 ‘오월 정치 선전전’의 성격을 극대화하였다.

[행사 내용]

‘그림마당 민’은 1980년대 암울한 군부독재 시절 민중미술인들의 유일한 전시 공간이었다. 그들은 이곳에서 암울한 시대에 대해 고민하고 미술인들이 해야 할 일을 논의하였다. 그 대표적인 활동이 ‘광주여, 오월이여 전’이었으며, 민중미술가 신학철을 비롯하여 류연복, 최민화, 권용택, 이종구 등이 참여하였다.

[특징]

‘그림마당 민’은 9년 동안 인사동 ‘미술인의 터’로 자리를 지키다가 1994년 말에 문을 닫았다.

[의의와 평가]

광주여, 오월이여 전’은 오월 미술의 대표적인 사례로 광주광역시를 벗어나 수도 서울특별시까지 광주 정신을 알리고자 한 미술인들의 노력으로 평가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