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광주음사시고』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5532
한자 光州吟社詩稿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황민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술 시기/일시 1953~1962년 - 광주음사 모임 및 시 창작
저술 시기/일시 1962년 - 『광주음사시고』 서문과 발문 저술
간행 시기/일시 1962년연표보기 - 『광주음사시고』 간행
간행처 광주음사 - 전라남도 광주시
성격 시문집
편자 김영만
간행자 김영만

[정의]

전라남도 광주시에서 결성된 광주음사의 활동 중 지어진 시들을 모아 1962년에 간행한 시집.

[개설]

『광주음사시고(光州吟社詩稿)』는 1953년부터 1962년까지 약 10년간 광주음사(光州吟社)의 활동으로 지어진 시들을 모아 김영만(金永萬)의 주도로 광주음사에서 간행한 시고(詩稿)이다.

[편찬/간행 경위]

김영만이 광주음사 활동에 부지런히 임하여 자기 자산을 들여 시고 편찬을 도왔다는 기록이 『광주음사시고』의 서문에 있다. 이와 같은 배경으로 1962년 김영만의 주도로 10년간의 시사(詩社) 활동 중 지어진 시들을 모아 광주음사원명록(光州吟社員名錄)과 서문 2편, 발문 2편을 더해 『광주음사시고』가 간행되었다.

[서지적 상황]

『광주음사시고』는 1책 단권의 석인본(石印本)으로 간행되었다.

[구성/내용]

『광주음사시고』는 서문, 시[본문], 발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문은 1962년 이기영(李基泳)이 쓴 것과 윤재갑(尹在甲)이 쓴 것 2편이 있고, 발문은 배완기(裵完基)가 쓴 것과 김영만(金永萬)이 쓴 것 2편이 실려 있다. 시는 총 702수가 수록되어 있다. 1953년 교궁추작(校宮秋爵)의 모임에서부터 1962년 원효사회음(元曉寺會吟) 모임까지 10년간 광주음사 활동 중 지어진 시들이다.

[의의와 평가]

『광주음사시고』는 광주음사원명록도 수록되어 있어 1950년대 전라남도 광주시에서 활동하였던 문인들의 시사 결성과 활동 사항을 알 수 있으며, 당시 문인들의 작품 세계의 일면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