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서석속록」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941
한자 瑞石續錄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시대 조선/조선 후기,근대/개항기
집필자 고성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826년 - 나도규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885년 - 나도규 사망
배경 지역 무등산 -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지도보기
성격 기행문
작가 나도규

[정의]

조선 후기 학자 나도규가 전라도 광주 지역에 있는 무등산을 유람하고 지은 글.

[개설]

「서석속록(瑞石續錄)」을 지은 덕암(德巖) 나도규(羅燾圭)[1826~1885]의 본관은 나주이며, 전라도 광산군[현 광주광역시 광산구 대촌면]에서 출생하였다. 기정진(奇正鎭)[1798~1879]의 제자로, 문집 『덕암만록(德巖漫錄)』 상·하 8권을 남겼는데, 「서석속록」은 제7권에 수록되어 있다. 나도규는 43세가 되던 해 8월에 2박 3일간 고제극(高濟克)·고일주(高馹柱)·고긍재(高兢載)·정해기(鄭海琦)·고만주(高萬柱) 등과 함께 하였다. 나도규는 여행과 유람을 즐겼으며, 대표적인 사례로 35세 때 2~3월에 유람하였던 서울까지의 여행과 43세와 45세 때 두 차례 실행하였던 무등산 유람을 들 수 있다. 서울 여행의 기록은 『덕암만록』 제6권의 「서행일기(西行日記)」에 실려 있고, 무등산을 오른 두 차례 유람 기록은 『덕암만록』 제7권의 「서석록」「서석속록」 등에 실려 있다.

[구성]

「서석속록」은 유산의 동기, 주상절리대 인근에서의 휴식, 승속(僧俗)[승려와 속인(俗人)을 아울러 이르는 말]의 쇠퇴에 대한 소회로 이루어져 있다.

[내용]

나도규는 43세가 되던 해 8월에 2박 3일 동안 무등산을 유람한 후 「서석록」을 남겼는데, 「서석속록」은 2년 후인 45세 4월에 1박 2일간 다시 무등산을 유람한 후 남긴 것으로 「서석록」의 후속편이라고 할 수 있다. 1차 유람은 주로 문인들과 함께 하였는데, 2차 때에는 종숙 및 마을의 장로 등과 동행하였으며, 행선지도 1차 때와는 다르다. 주요 행선지를 보면, 금당(金塘), 화산(花山), 화순(和順), 광치(廣峙), 사동(蛇洞), 승두치(僧頭峙), 입석대(立石臺), 서석대(瑞石臺), 축롱암(竺籠巖), 상봉(上峰), 천제단(天祭壇), 광석대(廣石臺), 석실(石室), 장불치(長佛峙), 자동석(自動石), 용추(龍湫), 상원암(上院庵) 등이다. 처음 서술된 내용에서 1차 무등산 유람에 대한 미련이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는데, 그러면서도 1차 때의 기록과 마찬가지로 다분히 유가적(儒家的) 관점에서 무등산을 조망하고 있다.

[특징]

「서석속록」 제목에서 '서석'은 무등산을 이르는 이칭(異稱)이다. 「서석속록」은 앞서 기록한 「서석록」의 속편으로 볼 수 있다. 「서석록」에 그려진 여정에 비하여 좀 더 다채로운 경로를 선택하여 이동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의의와 평가]

「서석속록」은 유산기이나 단지 유람의 동기나 과정 등의 기록에 머무르지 않고 당대의 유학자가 지닌 사고와 태도를 알려주고 있어 그 가치가 높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