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명곡유고』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717
한자 明谷遺稿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백지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편찬 시기/일시 1902년 - 『명곡유고』 편찬
간행 시기/일시 1902년연표보기 - 『명곡유고』 간행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60-1]
소장처 고려대학교 도서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안암동 5가 1-2]
소장처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연희동 25]
소장처 호남지방문헌연구소 - 광주광역시 북구 독립로 367번길 5[중흥동 645-14]지도보기
성격 시문집
저자 오희도
편자 오준선
간행자 오준선
권책 2권 1책
행자 10행 20자
규격 23.0 x 15.2㎝[반곽(半郭)]
어미 상삼엽화문어미(上三葉花紋魚尾)

[정의]

조선 후기 문신 오희도(吳希道)[1584~1624]의 문집.

[개설]

조선 후기 문신 오희도의 글과 기록을 9대손 오준선(吳駿善)이 편집, 간행한 문집이다.

[저자]

오희도의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득원(得原), 호는 명곡(明谷)이다. 1602년 사마시에 합격하였고, 1623년 알성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예문관의 관원으로 추천을 받아 들어갔다. 기주관을 대신하여 어전에서 사실을 기록하는 데 민첩하여 검열에 임명되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천연두에 걸려 사망하였다. 오희도의 나이 41세의 일이었다.

오희도는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형제와 함께 살면서 독서로 서로 권하고 격려하며 가정이 화목하였다. 금성(錦城)의 옛 고향 대명곡(大明谷)에 거처하면서 호를 명곡이라고 지어 불렀다. 만년에는 뒷산 기슭에 집을 지어 망재(忘齋)라 부르며 속물스러운 뜻을 버리고 기질을 순수하게 하는 데 힘썼다.

[형태/서지]

『명곡유고』는 2권 1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목활자본이다. 반곽(半郭)은 23.0 x 15.2㎝이고, 10행 20자이며, 상3엽화문어미(上3葉花紋魚尾)이다. 국립중앙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호남지방문헌연구소[광주광역시 소재] 등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명곡유고』 권 1에 시·사(詞), 권2에 잠(箴)·소(疏)·기(記)·서(序)·설(說)·제문(祭文)·책문(策問) 등이 있으며, 부록으로 묘갈명·비음기(碑陰記)·묘지명·유적·제문·도장사축문(道藏祠祝文)·도장사우상량문(道藏祠宇上樑文)·망재기(忘齋記)·제현창수(諸賢唱酬)·만사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명곡유고』는 전라남도 담양 지역에서 활동한 오희도의 학문과 사상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 호남기록문화유산(http://www.memoryhonam.c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