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첩노래」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662
한자 妾-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서해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99년 - 「첩노래」 광주광역시 남구 주민 곽순애에게 채록
채록 시기/일시 1999년 - 「첩노래」 광주광역시 광산구 주민 양소녀에게 채록
채록지 광주광역시 남구
채록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성격 서사민요
기능 구분 노동요
형식 구분 독창
박자 구조 4음절
가창자/시연자 곽순애|양소녀

[정의]

전라도 광주 일대에서 첩을 소재로 부른 민요.

[채록/수집 상황]

「첩노래」는 1999년에 『광주의 민요』 발간 사업의 일환으로 자료 수집 과정에서 광주광역시 남구 곽순애[1918년생]을 비롯하여 광산구, 북구, 서구 일대의 구술자에게 채록한 노래이다. .

[구성 및 형식]

「첩노래」는 독창으로 부르며, 사설은 4음절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첩노래」는 본처와 첩 그리고 남편 사이의 애증을 그린 서사민요(敍事民謠)로, 창자(唱者)에 따라 그 내용이 다양하다. 여기에 광주광역시 남구 주민 곽순애[1918년생], 광산구 주민 양소녀[1932년생]의 사설을 각각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곽순애 사설〉

못 참것네 못 참것네 아무래도 못 참것네/ 찌개 칼을 품에 품고 재 너머라 넘어가니/ 제비같이 생긴 년이 나비같이 절을 하네/ 여자 눈에 저만할 때 남자 눈에 어련할까/ 큰어마니 큰어마니 시간(世間) 반분하십시다/ 하늘 같은 남편 주니 시간조차 반분하냐/ 에라 하고 요망한 년 시간 반분 못 하것다/ 큰어마니 큰어마니 시간 반분 안 할 거며/ 가지꽃 따고 외꽃 따서 잡년 도복 지어오소/ 오냐 가지꽃 따고 외꽃 따서 잡년 도복 짓기가 일이더냐/ 나는 가지꽃 따고 외꽃 다서 잡년 도복을 지을 것이니/ 너는 백사 청사 백모대로 참새를 맺어 올려라[빚어서 바치다]/ 백사 청사 백모대로 참새를 못 맺어 죽었다네/ 쇠고기 육 장 단 간장에 밥 먹어도 쓰기만 하더니/ 백 소금에 밥 먹어도 달디달구나

〈양소녀 사설〉

못 참것네 못 참/ 편지 왔네 편지 왔네/ 서울서 편지 왔네/ 앞문으로 받은 편지/ 뒷문에 뜯어보니/ 첩 죽었단 편지로세/ 육장에 먹어도 쓰던 밥이/ 소금에 먹어도 달기만 하네/ 당게 둥당에 둥당에 당/ 당게 둥당에 둥당에 당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첩노래」는 주로 여성들이 길쌈을 하거나 밭을 맬 때, 그리고 바느질을 하거나 기타 집안일을 하면서 노동의 힘겨움과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많이 불렀다.

[의의와 평가]

「첩노래」는 주로 본처의 입장에서 첩에 대한 미움과 질투를 서사적으로 묘사한 노래가 대부분인데, 이는 힘든 삶과 상황을 극복하고 위안받고자 하는 마음을 「첩노래」를 통해 표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