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오징어놀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454
이칭/별칭 오징어 가이상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놀이/놀이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혜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속놀이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아이들이 땅바닥에 오징어 모양의 놀이판을 그린 다음 공격과 수비로 나누어 노는 놀이.

[개설]

오징어놀이는 넓은 마당이나 논밭에 오징어 모양의 선을 그려서 공격과 수비로 나누어 겨루는 놀이이다. 광주광역시 전역에 걸쳐 남녀 아이들이 많이 하였다. 오징어놀이는 놀이판이 오징어 모양을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오징어 모양의 머리 부분인 원에 공격 편이 들어가고 몸통 부분에 수비 편이 들어가 놀이가 시작된다.

[연원]

오징어놀이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그 유래는 알 수 없다. 오징어놀이의 보편적인 명칭은 '오징어 가이상'이다. 뒷부분에 '가이상', '가생'이란 말의 뜻은 일본말로 '가이상(かいせん)'으로 싸움이 시작되었다는 '개전(開戰)'을 뜻한다. 이와 같은 이름으로 불린 것으로 볼 때 일제강점기에도 오징어놀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 놀이판의 모양이 보통 원이나 사각형이 많은데, 사각형과 원의 형태뿐 아니라 삼각형까지 있는 것으로 볼 때 여러 가지 모양의 놀이판을 가지고 놀다가 시간을 거쳐 오늘날의 놀이판 모습으로 정착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로써 오징어놀이가 오랜 기간 동안 변화되어 왔음을 추정할 수 있다.

[놀이 도구 및 장소]

오징어놀이는 도구는 따로 필요치 않으며, 넓고 평평한 땅에서 놀이가 이루어졌다.

[놀이 방법]

오징어놀이는 가위바위보를 해서 이긴 편이 원에 들어가서 공격을 하고, 진 편은 오징어 내부에 들어가서 수비를 한다. 공격자나 수비자나 오징어의 외부에서는 깸발[외발]로 다녀야 한다. 오징어 허리 부분을 통과한 사람은 내부든 외부든 자유롭게 걸어다닐 수 있기 때문에 깸발[외발]로 다니는 사람보다 공격하기가 쉽다. 수비자를 거의 죽이고 기회를 엿보아 문으로 들어가서 '돌격'하면서 원과 오징어 머리가 만나는 삼각형 부분을 '진'하면서 밟으면 이긴다. 한 사람이라도 돌격을 시도해서 통과를 하면, 죽었던 자신의 편 동료들이 모두 살아나서 다시 놀이가 시작된다. 여기서 오징어의 허리를 통과하기는 무척 어렵다. 오징어 허리 부분에서 뛰어넘을 때 상대편에서 밀거나 잡아당기기 때문에 서로 힘을 겨루면서 통과를 해야 한다. 이때 대부분 죽게 되어 공격과 수비가 교대하게 된다. 교대가 이루어지면 서로 위치를 바꾸어 놀이를 계속한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오징어놀이는 밀고 당기고 부딪치면서 놀이를 하는 까닭에 과격한 놀이로 보이지만 편을 나누어 경쟁을 하면서 느끼는 재미가 있다. 또 위기에 빠진 자신을 같은 편이 와서 도와 주고, 자기 편이 위험에 처하면 가서 도와 주면서 서로 돕는 상생의 관계를 알 수 있는 놀이이다.

[현황]

오징어놀이는 2021년에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었던 「오징어 게임」이라는 넷플릭스 한국 드라마 시리즈물로 널리 주목을 받게 되었지만, 현재 오징어놀이는 거의 행해지지 않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