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단자놀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440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놀이/놀이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혜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속놀이

[정의]

광주광역시를 비롯하여 전라도 지역에서 제사를 모시는 집의 제사 음식을 얻어다 먹는 민속놀이.

[개설]

단자놀이는 동네 사랑에 나와 놀던 청년들이 밤이 이슥해지고 배가 고파지면 그날 제사를 모시는 집에 빈 석작[가는 대오리를 엮어 만든, 뚜껑이 있는 네모난 상자]을 보내서 제사 음식을 얻어다 먹는 민속놀이이다. 이때 석작 속에다 한지나 동네 사랑에서 사용하던 목침인 단자를 넣어 보낸다. 단자는 사랑에 있는 사람 중 가장 나이 어린 사람을 시켜 보내며 서로 얼굴을 마주치지 않기 때문에 “단자요!” 하고 외치고 돌아온다. 단자를 받은 집에서는 행여나 정성이 부족하다고 흉이 잡힐까 봐 제사상에 올린 음식을 골고루 담아 동네 사랑방으로 보낸다. 형편이 어려운 집에는 보내지 않고 넉넉한 집만을 골라서 보내기 때문에 동네 사랑방에는 형편이 좋은 집의 제삿날을 기록하여 둔다고 한다.

[연원]

단자놀이의 유래는 알 수 없지만, 제사를 지내고 음식을 나누어 먹는 민속놀이로 제사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짐작된다.

[놀이 방법]

광주광역시 단자놀이의 방법은 마을마다 차이가 있다.

광산구 동호동 남동마을에서는 석작 속의 한지에다 먹으로 새를 그려 보낸다. 이는 ‘새’의 종류가 많기도 하지만, 그중에서도 ‘먹새’가 최고라는 뜻이 담겨 있다. 단자를 받은 집에서는 떡 등의 제사 음식을 보내온 석작에 가득 담아 동네 사랑으로 보낸다.

광산구 비아동 장터마을에서는 한지 대신 동네 사랑에서 쓰던 목침에 바라는 음식의 물목을 적어 보낸다. 아울러 예의로 향이나 양초 한 갑을 담아 보내기도 한다. 여타의 마을과는 달리 단자를 제사가 끝날 즈음 보내 마당에 서 있다가 받아온다.

북구 일곡동에서는 목침과 약간의 돈을 석작에 담아 보낸다. 단자를 주인 모르게 마루에 올려놓고 돌아오면 음식을 담아 동네 사랑으로 가져다준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제사 후 음식을 나누어 먹는 것을 ‘음복’이라고 한다. 음식이 귀했던 옛날 일반 서민들은 제사 음식을 나누어 먹으면 복이 온다고 믿었기 때문에 제사를 지내는 쪽이나 놀이를 하는 쪽 모두에게 단자놀이는 즐거운 놀이가 되었다.

[현황]

단자놀이는 광주광역시의 많은 마을에서 행했던 놀이였으나, 현재는 전승되고 있지 않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