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꽃게장 백반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244
한자 -醬白飯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음식물/음식물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정옥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0년 - 동곡꽃게장 거리 맛집거리로 지정
관련 행사 개최 장소 동곡꽃게장 거리 -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산동 13-13 지도보기
성격 향토 음식
재료 꽃게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양념 꽃게장과 간장 꽃게장을 주반찬으로 여러 가지 밑반찬을 곁들여 낸 반상차림.

[개설]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곡동에 있는 음식점에서 양념 꽃게장과 간장 꽃게장을 주반찬으로 하고, 여러 가지 밑반찬과 된장국이나 된장찌개를 곁들여 내는 반상차림을 동곡동 꽃게장 백반이라고 한다. 약 50년 전에 동곡동사무소 일대에 꽃게장 백반 음식점 거리가 형성되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연원 및 변천]

무안광주고속도로가 개통되기 전인 2000년대 초반까지 광주광역시 동곡면의 국도 제13호선 주변은 광주와 전라남도 남서부 지역인 나주, 영암, 해남, 무안, 목포를 연결하는 교통의 요충지로 자동차 통행량과 유동 인구가 많은 지역이었다. 50여 년 전에 국도 제13호선과 가까운 동곡동면사무소 주변의 한 음식점에서 국도 제13호선을 지나는 사람들과 동사무소 직원들을 대상으로 점심 식사 때 양념게장과 꽃게탕을 백반 반찬에 포함하여 판매하기 시작하였는데, 맛이 좋아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꽃게장 백반을 먹기 위하여 찾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주변에 꽃게장 백반을 판매하는 음식점이 늘어나기 시작하여 현재와 같은 꽃게장 백반 거리가 형성되었다고 한다.

무안광주고속도로가 개통된 후에는 국도 제13호선을 지나는 차량이 급속히 감소하면서 동곡 꽃게장 백반 거리를 지나는 유동 인구도 줄어들었지만, 동곡 꽃게장 백반의 명성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현재 동곡동 꽃게장 백반 거리에는 15개의 꽃게장 백반 음식점이 밀집하여 있으며, 상가협의회에서 꽃게장의 맛과 품질을 관리하고 있다.

2020년에 광주광역시에서 동곡 꽃게장 거리를 맛집거리로 지정하였다.

[만드는 법]

양념 꽃게장은 꽃게를 손질하여 적당한 크기로 잘라 양념하여 무쳐 내고, 간장 꽃게장은 손질한 꽃게를 간장에 담가 숙성시켜 낸다. 반상차림은 양념 꽃게장, 간장 꽃게장, 꽃게탕을 주반찬으로 하여 흑미밥이나 백미밥, 제육볶음, 생선구이, 도토리묵 무침, 계절나물, 김치류, 장아찌, 젓갈 등 10~20 가지 이상의 반찬으로 구성된다. 게장을 제외한 밑반찬의 종류와 가짓수는 각 식당의 식재료 수급 상황과 계절에 따라 조금씩 달라진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광주광역시 동곡동은 바다와 접하고 있지 않은 내륙 지역이어서, 해산물인 꽃게의 어획이 이루어지는 지역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꽃게장 백반이 향토 음식으로 널리 알려진 것은 독특한 사례이다. 이는 꽃게의 어획이 많은 서해안과 전라남도 식재료의 집산지인 광주광역시를 연결하는 도로의 중간에 동곡면이 자리하고 있었다는 지리적인 영향은 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참고문헌]
  • 광주광역시청(www.gwangju.go.kr)
  • 광주광역시 광산구청(https://www.gwangsan.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