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4183
한자 放送
영어공식명칭 Broadcasting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은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42년 3월 21일 - 광주방송국 개국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61년 8월 1일 - 기독교 광주방송 개국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64년 6월 13일 - MBC광주문화방송 개국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1년 4월 24일 - 전일방송 개국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5년 5월 14일 - KBC광주방송 TV 방송국 개국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8년 2월 2일 - KBC광주방송 FM 방송국 개국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라디오나 텔레비전 따위를 통하여 널리 듣고 볼 수 있도록 음성이나 영상을 전파로 내보내는 일.

[개설]

전라남도 광주 지역의 모든 방송은 서울의 네트워크 체제 또는 그 유사 관계로 묶여 있다. 따라서 광주 지역의 방송 구도 변화는 서울의 방송 체제, 곧 한국 방송 구도의 변화와 같은 맥락에서 볼 수밖에 없다. 따라서 광주 지역의 방송 구도 변화는 한국에 방송이 도입된 이래, 그 시기 및 내용과 사회적 환경을 고려하여 국영 방송 체제, 국영·민영 방송 체제, 유사 공영 방송 체제, 공영·민영 방송 체제로 크게 나누어진다.

우리나라에 방송 제도가 도입된 것은 일제 식민 통치하에서였다. 일제는 1927년 2월 16일 경성방송국을 개국하였고 전국적인 라디오 방송망을 확립하려 하였다. 그 일환으로 설립된 것이 광주방송국[호출부호 JBHK], 지금의 KBS광주방송총국이다. 광복 이후 경성방송국은 서울중앙방송국으로 개편되었고, 1948년 정부 수립과 함께 방송 업무가 공보처로 이관되어 국영 방송이 되었다. 이때 국제전기통신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이 한국의 호출부호인 HL을 부여하였다. 1954년 12월 한국 최초의 민영 방송인 기독교방송[CBS]이 개국하고, 이어 1959년 4월 15일 부산문화방송이 최초의 상업 방송으로 개국하였다. 이에 따라 광주에도 기독교 광주방송[광주 CBS]MBC광주문화방송이 개국하였다.

[변천 및 현황]

광주에서 처음으로 전파를 내보낸 것은 광주방송국으로 호출부호는 JBHK이다. 그러나 광주방송국은 일본인들이 광주에서 자신의 목적과 필요에 의해 개국한 라디오 방송이라는 점에서 광주의 방송사에 포함시키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이 있다. 언론 매체는 신속하고 광범위한 커뮤니케이션을 항구적이고 조직적으로 행하기 위한 사회의 필요성에 의해 구성하는 제도이므로 언론의 주체나 목적이 사회 정통성에 기초하지 않은 매체는 그 정통성을 인정 받기 어렵다. 그러므로 우리 사회가 구조화되고 국영 방송이 들어섰던 시기를 살펴보아야 한다.

광주 지역에서 가장 먼저 시작된 방송 체제는 국영 방송 네트워크 형태이다. 1948년 남한 단일 정부가 수립된 이후 정부는 미군이 넘겨준 전국 방송국을 국유화하였는데, 이때 광주방송국도 그러한 체제로 들어갔고 광주 지역의 국영 방송 체제는 이승만 정권이 4.19혁명으로 물러난 1960년까지 지속되었다.

국영·민영 방송 체제가 성립된 것은 1961년 기독교 광주방송[CBS]이 개국하면서이다. 기독교 광주방송은 종교 방송으로 시작했기 때문에 엄밀히 보자면 민영 방송은 아니었지만, 광주에 민간이 운영하는 방송의 가능성을 열었다고 할 수 있다. 이후 1963년 광주문화방송[MBC]이 개국하여 본격적인 국영·민영 방송 체제가 이루어졌다. 이후 1971년 전일방송[VOC]이 개국함으로써 국영·민영 방송의 각축 시대를 맞았다.

20여 년 지속되었던 국영·민영 방송 체제는 1980년 언론 통폐합 조치로 공영 방송 체제로 일원화되었다. 모든 방송 기능과 운영권은 KBS로 통합되었으며, 광주 지역의 민영 방송은 기독교 광주방송만 남게 되었다. 그러나 기독교 광주방송도 종교 방송만 하도록 제한되었다. 이러한 공영 방송 체제는 비민주적 운영과 방송 기능의 저하로 사회적 비판을 받아 일부 수정되었다.

1987년부터는 기독교 광주방송의 기능이 민영 방송 형태로 환원되고, 1995년에는 상업 방송인 광주방송[KBC]이 개국하면서 공영·민영 체제가 되었다. 여기에 유선 방송인 광주케이블TV네트워크[KCN]와 한국케이블TV광주방송[KCTV]이 1995년 초부터 방송을 시작하여 민영 영역이 더욱 확대되었다.

[의의]

광주 지역의 방송은 서울 본국과 유사 관계로 묶여 순수하게 광주 지역에서 출범한 것은 아니었으나, 여러 민영 방송국들이 생기면서 광주 지역의 소식을 전하고 사회적 영향을 미쳐 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 『광주시사』4(광주광역시사편찬위원회, 1997)
  • 광주 CBS(http://www.gjcbs.co.kr)
  • KBC광주방송(http://ikbc.co.kr/kor)
  • KBS광주방송총국(http://gwangju.kbs.co.kr)
  • MBC광주문화방송(https://www.kjmbc.c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