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2019세계수영선수권대회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3788
한자 2019世界水泳選手權大會
영어공식명칭 Gwangju 2019 FINA World Championships
이칭/별칭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제18회 세계수영선수권대회
분야 문화·교육/체육
유형 행사/행사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병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시작 시기/일시 2019년 7월 12일연표보기 - 2019세계수영선수권대회 개회
폐지 시기/일시 2019년 7월 28일연표보기 - 2019세계수영선수권대회 폐회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6년 - 2019세계수영선수권대회조직위원회 개소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9년 7월 28일 - 2019세계수영선수권대회 대한민국 23위 달성
행사 장소 광주여대시립유니버시아드체육관 -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주여대길 45[산정동 158]지도보기
행사 장소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예술극장 - 광주광역시 동구 대의동 57-13 지도보기
행사 장소 남부대시립국제수영장 - 광주광역시 광산구 첨단중앙로 23[월계동 864-5]지도보기
행사 장소 남부대학교수구경기장 - 광주광역시 광산구 첨단중앙로 23[월계동 864-5]지도보기
행사 장소 염주종합체육관 - 광주광역시 서구 금화로 278[풍암동 423-2]지도보기
행사 장소 조선대학교하이다이빙경기장 - 광주광역시 동구 필문대로 309[서석동 375]지도보기
행사 장소 여수엑스포해양공원 - 전라남도 여수시 박람회길 1[수정동 777-5]
행사 시기/일시 2019년 7월 12일~7월 28일
홈페이지 https://www.facebook.com/fina.gwangju2019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2019년에 개최한 국제 수영 대회.

[개설]

2019세계수영선수권대회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개최한 세계수영선수권대회이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5대 메가 스포츠[하계올림픽, 동계올림픽, 월드컵 축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 세계수영선수권대회]를 모두 개최한 세계에서 네 번째 국가가 되었다.

[연원 및 개최 경위]

세계수영선수권대회는 국제수영연맹[International Swimming Federation, FINA]이 주관하는 대회로 1973년 유고슬라비아 베오그라드에서 첫 대회를 개최한 뒤 4년마다 개최하다가 2001년 제9회 일본 후쿠오카[福岡] 대회 때부터 2년마다 열리고 있다. 2013년 7월 19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렸던 국제수영연맹 뷰로(Bureau) 회의에서 광주광역시를 2019년 제18회 세계수영선수권대회 개최 도시로 결정하였다.

2016년 2019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조직위원회 사무국을 광주광역시 동구 호남동에 개소하여 조직을 구성하였으며, 2017년 5월 총사업비 1697억 원이 확정되었다.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제17회 세계수영선수권대회 참관 및 대회기 인수로 대회 운영 노하우를 습득하였다. 2018년 12월에는 총사업비 외 재원 230억 원을 국비로 확보하였다.

[행사 내용]

2019년 7월 12일부터 17일간 191개국 2518명의 선수가 참가하였다. 참가국과 참가 선수 인원은 역대 최대 규모였다. 대회 종목은 총 6개 종목으로 경영, 다이빙, 수구, 아티스틱, 오픈워터, 하이다이빙이다. 광주광역시 4곳과 전라남도 여수시 1곳에서 진행하였다. 사업비 절감과 사후 운영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주경기장 등 기존 시설을 활용하고 부족 시설은 임시 시설로 구축하였다.

2019세계수영선수권대회 결과, 세계 신기록 10개와 대회 신기록 17개, 한국 신기록 5개가 나오는 등 성황리에 진행되었다. 중국이 종합우승을 차지하였으며, 대한민국은 23위를 달성하였다. 김수지 선수가 다이빙 종목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였으며 비인기 종목이었던 다이빙과 수구, 아티스틱 수영도 선전하였다. 수구 남자부는 세계수영선수권대회 사상 첫 승을 올렸으며, 여자부는 강호 헝가리와 캐나다를 상대로 골을 넣었다. 아티스틱 수영도 프리 콤비네이션 종목에서 10년 만에 결선에 진출하는 성과를 올렸다.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도 빛이 났는데, 1만 5000여 명의 자원봉사자와 시민 서포터즈들이 대회 성공을 위해 노력하였다. 입장권은 32만 매가 판매되었고, 대회 관람객은 29만 2000여 명이었다. 총사업비는 2036억 원이 소요되었으며 시설비 732억 원, 운영비 1304억 원이다. 대회 운영비 정산 결과 159억 원의 흑자를 기록하였다.

[현황]

2019세계수영선수권대회조직위원회는 「국제경기대회 지원법」 제9조를 설립 근거로 위원총회, 집행위원회, 자문위원회, 전문위원회 등 4개의 기구를 구성하였고, 2019년 7월 31일 공식 해산하였다. 조직위원회뿐 아니라 통역 832명, 경기 진행 336명, 일반 777명, 의전 10명, 수송 411명 등 3126명의 자원봉사자가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2019세계수영선수권대회가 끝난 뒤 마스터즈수영대회를 개최해 생활 스포츠로의 저변을 확대하였다. 또한 광주광역시에서는 개최 효과가 지속될 수 있도록 대회기념유산 정책화 과제 10개를 발굴하고 대회기념유산 정책화 TF팀을 구성하여 과제를 수행하였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