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광주 청년일경험드림 사업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3160
한자 光州靑年-經驗-事業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신우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할 지역 광주 청년일경험드림 사업 -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11[치평동]지도보기

[정의]

광주광역시에 거주 중인 미취업 청년에게 다양한 현장에서의 일경험을 제공하면서 소득을 보장하고 안정적인 취업으로 이어지도록 돕는 일자리 디딤돌 사업.

[개설]

광주광역시가 추진하는 대표적인 일자리 사업으로 광주광역시 지역의 강소기업 및 다양한 분야의 기관들이 우수한 인재를 발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 청년들에게는 직장 체험의 기회를 부여하기 위한 사업이다.

[제정 경위 및 목적]

광주 청년일경험드림 사업에 참여하는 기업은 인건비의 90%를 시비(市費)로 지원하며, 사업에 참여한 청년에게 일 경험을 제공하거나 직접 채용할 목적으로 전개되는 사업이다.

[관련 기록]

담당 기관 관련 문의는 광주 청년일경험드림[www.gjyouthdream.com, 062-613-1130], 국제커리어센터[http://www.kjca.co.kr, 062-654-7719], 광주경영자총협회[http://www.gjef.or.kr, 062-654-3441], 광주사회복지사협회[https://www.gasw.or.kr, 062-524-7932], 광주사회적경제지원센터[https://gjsec.kr, 062-531-666], 광주청년창업지원센터[062-239-9616] 등을 통해 할 수 있다.

[내용]

광주 청년일경험드림 사업의 참여 유형은 첫째, '공공기관형'으로 광주전남 혁신도시 소재 공공기관 및 정부 지자체 산하 출자기관·출연기관·대학교 등 공공 영역의 직무 경험을 통해 국가·지방자치단체에서 지급하는 보조금 지원 공모 사업, 프로젝트 사업 등의 수행에 참여하는 유형이다. 둘째, '기업형'은 광주경영자총협회에서 주관하는 사업으로 국가직무능력 표준을 기반으로 직무 경험을 쌓을 수 있으며, 지역의 기업과 지역 특화 산업 기업 및 산업별 인증 기업에서 일 경험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셋째, '청년창업기업형'은 혁신적인 기술과 아이디어를 보유한 스타트업 기업과 지역 청년의 연결을 통해 청년들의 부족한 직무 경험을 쌓고 창업의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넷째, '사회복지형'은 청년 복지 인력을 확충하여 청년에게 지역사회 복지 기관으로 취업을 연결하는 유형이다. 다섯째, '사회가치형'은 공동체 경제 모델과 공익적 일 경험을 통해 공적 가치 및 사회적 경제 비전을 경험할 수 있는 유형이다. 이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자격은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만 34세 미만의 미취업 청년이며, 휴학생 및 졸업 유예자는 참여가 불가능하다.

[의의와 평가]

광주 청년일경험드림 사업에 참여하는 청년은 협약을 맺은 기업[광주광역시, 광주·전남 혁신도시와 인근 소재의 사업장]에 인턴십으로 참여하여 일에 대한 경험을 제공하고, 광주광역시는 협약 기업에 인건비의 90%를 제공하여 참여 청년의 직접 고용을 유도하고 있다. 다만, 만 34세 이상 및 대학원생에 대한 지원이 불가능하다는 점은 개선되어야 할 사안이다.

[참고문헌]
  • 광주 청년일경험드림(http://www.gjyouthdream.com)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