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794
한자 女性福祉
영어공식명칭 Women's Welfare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내영

[정의]

광주광역시 여성의 생애와 삶을 중심으로 사회적·경제적·정치적 참여와 자아실현을 보장하는 복지 지원.

[개설]

광주광역시의 여성 복지는 성평등, 가족, 인권 보호를 중심으로 복지 정책 및 지원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2007년 제정된 「광주광역시 성평등 기본 조례」에 따라 '광주광역시 양성 평등 정책 종합 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성평등위원회를 설치해 성평등 정책의 촉진, 성평등 참여, 인권 보호 및 복지 증진, 성평등 문화 확산 등의 성평등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광주광역시는 2011년 「광주광역시 여성가족재단 설립 및 운영 조례」를 통해 여성 및 가족 정책을 연구·개발하고 양성 평등을 실현하기 위한 '광주여성가족재단'을 설립하였으며, 여성·가족·저출산·아동·청소년 관련 정책을 개발 수행하고 있다. 2016년에는 「광주광역시 일가정양립지원본부 운영 조례」로 '광주광역시 여성발전센터'가 '광주광역시 일가정양립지원본부'로 명칭을 바꿔 개소하였다. 광주광역시 일가정양립지원본부는 여성의 잠재능력 개발 및 경제 활동 증진, 그리고 일과 가정의 양립을 지원하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여성의 직업능력 개발 교육, 여성새로일하기센터, 여성긴급전화 1366광주센터, 직장맘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광주광역시 여성 복지]

광주광역시의 '양성 평등 정책'은 5년에 걸쳐 수립·시행되고 있으며, 2019~2022년에는 양성 평등 의식 및 문화의 확산, 평등하게 일할 권리와 기회의 보장, 여성 대표성 제고 및 참여 활성화, 일생활 균형 사회 기반 조성, 젠더 폭력 예방과 여성 건강 증진, 양성 평등 정책 추진 체계 강화 등의 6개 목표를 수립하여 세부 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세부 추진 과제로는 생활 속 성평등 문화 확산, 성평등 학교 교육 및 시민 교육 강화, 광주광역시 여성 인물 재조명 사업 등이 있다. 또한 가족 친화 인증 기업 확대, 여성 기업 지원 및 경영 인프라 확충 등의 성평등 고용 환경 조성, 생애주기별 여성 고용 서비스 지원 확대, 경력 단절 여성 일자리 지원 강화, 성평등 여성 일자리 모델 발굴, 공적·민간 영역의 여성 대표성 강화, 여성 관리자 DB 구축, 지역 내 여성 리더의 발굴 및 리더십 강화 등을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일생활 균형 사회 기반 조성을 위해서 공적 돌봄 시설의 확대와 같은 돌봄의 사회적 책임 강화, 육아기 근로자의 모·부성권 보장을 위한 육아휴직 활성화 등의 지원, 가족 친화 경영 확산 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광주광역시에서 양성 평등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젠더 폭력 예방과 여성 건강 증진을 위해 성희롱·성폭력 제로 도시 조성, 폭력 예방 교육의 내실화, 폭력 유형별 대응 체계 구축,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 지원 확대, 성매매 피해 여성의 자립 지원 강화, 성 인지적 건강 증진 기반 조성 등을 실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양성 평등 정책은 양성평등지원센터 설립, 젠더 거버넌스(Governance)[공동 목표 달성을 위해 주어진 자원, 제약 하에서 모든 이해 당사자들이 책임감을 가지고 투명하게 의사 결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제반 장치]와 같은 정책 추진 기반을 요청하는데, 광주여성가족재단, 광주여성민우회, 광주전남여성단체연합, 광주여성의전화 등의 여성 단체와 각 5개구의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직업훈련과 경제적 자립을 위한 기관인 광주여성인력개발센터, 광주광역시일가정양립지원본부, 광주북구여성인력개발센터, 광주여성새로일하기지원본부, 광주여성자활지원센터 등과 함께 양성 평등 정책을 수행하고 있다.

광주광역시의는 2020년부터 「광주광역시 여성 폭력 방지 기본 조례」 제정과 함께 '여성 폭력 근절을 통한 성평등 사회 실현'을 비전으로 여성 폭력 방지 정책을 처음으로 수립함으로써 여성폭력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1990년 중·후반부터 개소한 광주여성민우회 성폭력상담소·광주여성장애인 성폭력상담소 등과 같은 성폭력상담소와 광주YWCA가정상담센터·광주여성인권상담소 등과 같은 가정폭력상담소를 통해 여성폭력에 대한 예방과 근절, 피해자 보호를 위한 정책의 추진과 기반 조성에 함께 노력하고 있다. 또한 여성 폭력에 대한 선제적 대응, 피해자 중심의 형사사법 체계 운영, 여성 폭력 예방 및 피해 지원의 내실화, 통합적 대응 및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기반 마련에도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