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지역산업 육성사업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749
한자 地域産業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차혜진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지역 내 활용 가능한 다부처 정책 지원 수단들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고, 상호 연계·협력을 통해 지역 기업들의 혁신 성장을 주도할 수 있는 산업을 육성하는 사업.

[성과관리 방향]

2019년 지역산업 육성사업에 있어 환경 변화에 따른 지역 사업 관리 체계 강화 측면에서의 광주광역시 성과 관리 방향은 민선 7기 산업 육성 목표 이행을 위한 지자체 중심의 지역 사업 관리 강화이다. 세부적으로는 전략산업혁신성장협의회를 통한 '제조업 중심 혁신 성장 일자리 창출' 목표 강화와 8대 산업 공약 목표 이행을 위한 지자체 중심의 진흥 계획 수립이 있다.

[추진 현황]

2019년 지역산업 육성사업에 있어서 정책 환경 분석 및 사업·성과 관리 계획 수립의 '성과 관리 수단'[광주산업발전정책위원회, 중소기업기술혁신협의회, 전략산업혁신성장협의회, 지역연구회]별 추진 현황을 살펴보면, '광주산업발전정책위원회'의 추진 현황은 중앙정부의 기업 육성 방향에 따른 기업 지원 계획 수립 필요, 우수 사례 발굴 체계화 필요, 지역사업 성과 및 사례 홍보 강화이고, '중소기업기술혁신협의회'의 추진 현황은 지역 내 기업 지원 사업 연계 방안 협의, 일본 수출 규제 대응 등 지역 현안 토의이다. '전략산업혁신성장협의회'의 추진 현황은 민선 7기 지역 11대 대표 산업 육성 계획 수립, 국책 과제 발굴 및 정보 공유이며, '지역연구회'의 추진 현황은 지역 11대 대표산업 중 9대 산업 국비 발굴 전략 수립, 정부 및 지자체 대응 전략 설명회 개최, 1:1 무역 규제 상담회 추진, 정부 통상 전략 설명회 추진, 기술 자립화 R&D 기획 지원이다.

[주요 성과 및 개선 내용]

2019년 지역산업 육성사업에 있어서 정책 환경 분석 및 사업·성과 관리 계획 수립의 '성과 관리 수단'[광주산업발전정책위원회, 중소기업기술혁신협의회, 전략산업혁신성장협의회, 지역연구회]별 주요 성과 및 개선 내용을 살펴보면, '광주산업발전정책위원회'는 신규 과제 산업별 칸막이 완전 제거를 통한 기업 수요 반영 및 우수 과제 발굴, 선택과 집중을 위한 기업 성장 단계별 맞춤형 기업 지원 체계 구축, 우수 사례 추천평가위원회 운영, 지역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지원 기관 공고 사업과 정책 행사 등 홍보 채널 구축이다. '중소기업기술혁신협의회'는 협의회 위상 및 역할 강화[일본 수출규제에 따른 혁신기관별 주요 조사결과 및 조치계획 공유], 지역사업 성과발표회 및 성과 언론 보도, 지역 소재부품산업 기획위원회 운영[일본 수출규제 관련, 광융합, 자동차, 에너지, 전기전자, 의료 총 5개 분과 34명 위원으로 구성 기획 보고서 작성]이다. '전략산업혁신성장협의회'는 전략산업혁신성장협의회 구성 및 운영이고, '지역연구회'는 객관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지역 현안 선제적 대응에 따른 지역 기업 기술 역량 자립화 방안 발굴 및 추진, 정부 정책과 부합한 지역 산업 육성 방향 도출, 지역 맞춤형 신규 산업 및 사업 발굴의 기반 마련, 지역 산업 진흥 계획 및 기업 지원 프로그램 방향 반영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