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시가지계획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651
한자 市街地計劃
영어공식명칭 Urban District Plan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채옥

[정의]

광주광역시의 도시계획에 있어서 공간 거점으로서의 도시 공간구조 계획.

[개설]

2017년에 확정 공고된 '2030 광주 도시기본계획'에서는 도시 공간구조를 2도심, 3부 도심, 7지역 중심, 3특화 중심으로의 공간 거점으로 설정하였다.

[2도심]

2도심은 기존 도심과 상무 도심으로서 광주광역시 대도시권의 중심 기능을 수행하는 지역이다. 기존 도심[충장로, 금남로 일원]은 상업·업무, 역사·문화·관광의 거점 지역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여 활력을 되찾는다. 상무 도심은 행정·업무·상업의 중심지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3부도심]

3부 도심은 송정, 첨단, 백운이며, 대생활권의 중심 기능을 수행하는 지역이다. 송정 부도심은 서남권 관문 지역 및 KTX 경제권 중심의 복합 상업·업무·쇼핑 중심지 기능을 수행한다. 첨단 부도심은 산업·물류·유통의 북부권 중심지 기능을 수행하며, 백운 부도심은 업무·쇼핑 중심의 남부권 중심지 기능을 수행한다.

[7지역중심]

7지역 중심은 광천, 금호, 용봉, 하남, 수완, 효천, 소태이며, 각 권역의 주요 생활권 중심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지역이다. 광천 지역 중심은 상업·문화·예술 생활권의 기능을, 금호 지역 중심은 MICE·유통 생활권의 기능을, 용봉 지역 중심은 교육·주거 생활권의 기능을, 하남 지역 중심은 산업·물류·주거 생활권의 기능을, 수완 지역 중심은 주거 생활권의 기능을, 효천 지역 중심은 교육·주거 생활권의 기능을, 소태 지역 중심은 주거 생활권의 기능을 수행한다.

[3특화중심]

3특화 중심은 광주역, 송암, 대촌으로서, 특화 전문 기능을 수행하는 지역이다. 광주역 특화 중심은 도시 기능의 융복합적 재생을 통한 도시재생 거점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송암 특화 중심은 문화 콘텐츠 산업 육성 및 아시아문화전당과 연계한 문화산업 중심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대촌 특화 중심은 에너지 신산업 벨트, 스마트시티 등 신 산업 개발의 특화 발전 중심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