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중소기업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473
한자 中小企業
영어공식명칭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장섭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중소기업기본법」 시행령에 의거하여 중소기업 범위 내에 포함된 기업.

[개설]

「중소기업기본법」 시행령에 규정된 중소기업의 사업 범위를 보면, 제조업은 상시근로자 수 300인 미만이거나 자본금이 80억 원 이하인 경우, 광업·건설업·운송업은 상시근로자 수 300인 미만이거나 자본금 30억 원 이하인 경우, 도소매·서비스업은 세부 업종별로 상세하게 구분하여 상시근로자 수 300인부터 50인까지, 매출액 300억 원부터 50억 원까지의 중소기업 범위 내에 포함된 기업을 말한다.

[현황]

2019년 기준 광주광역시의 사업체 수는 12만 3706개로 전년보다 3.4%[4,089개]가 증가하였다. 종사자 수는 63만 1876명으로 전년 대비 2.5%[1만 5611명]가 증가하였다. 총 사업체 수 중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이 57.3%[118개], '운수업 및 창고업'이 15.7%[1,534개], '부동산업'이 8.3%[426개] 증가하였다. 총 종사자 수 중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이 20.0%[278명], '정보통신업'이 16.3%[1,350명],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원료재생업'이 7.5%[5,136명] 증가하였다.

[중소기업 지원]

광주광역시는 중소기업을 위해 경영 안정 자금, 벤처기업 육성 자금, 구조 고도화 자금, 수출 진흥 자금, 중소유통업 구조 개선 자금 등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성장 의지와 잠재력을 갖춘 중소기업을 발굴하여 지역 경제를 견인할 수 있는 광주광역시 대표 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매년 중소·중견기업을 선정하여 명품강소기업으로 선정하고 있다. 선정 규모는 100개 사 이내[총량제 관리]로 현재 88개가 지정되어 있다. 대상 업종은 제조업과 지식 서비스 산업이고, 선정 기준은 매출액 50억 원 이상[지식 서비스 산업은 10억 원 이상]이면서 최근 5년간 매출액 증가율이 5% 이상이거나, 최근 3년간 매출액 대비 R&D 투자 비율이 1% 이상인 기업을 선정하고 있다. 지정 기간은 3년이며 경영 안정 자금 확대, 기술 개발 및 사업화 지원, R&D 기획 등 기업 경쟁력 강화사업 지원, 1사 전담 GFD(Gwangju Field Director) 지정 애로사항 해결 등을 제공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