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464
한자 都小賣業
영어공식명칭 Retail and Whole Sales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장섭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각종 상품을 구매자에게 판매하는 도매 및 소매 활동.

[특징]

광주광역시 도소매업의 경제적 비중을 고용 측면에서 살펴보면, 1988년 취업자 비율이 총 취업자의 26%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농림어업의 12.6%, 광업·제조업의 16.3%, 그리고 3차 산업 중의 어느 업종보다도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고용 구조가 취약한 점도 광주광역시의 도소매업 구조의 특징 중 하나이다. 도소매업의 고용 구조는 무급 및 가족 종사자의 비율이 높아 피고용자 비율이 낮으며, 취업자 중 여성 취업자와 고령 취업자의 비율이 높다. 그 원인은 도소매업이 타 산업에 비해 기업화가 덜 되어 있고 종사자들에게 전문 기술이 크게 요구되지 않기 때문이다.

[현황 및 경향]

광주광역시 도소매업체의 경향을 보면, 2006년부터 사업체 수는 2만 6317개에서 소폭씩 꾸준히 증가하였고, 종사자 수 또한 7만 7585명에서 꾸준히 증가하였다. 2019년의 사업체 수는 3만 1799개이고 종사자 수는 9만 4194명이다. 이를 사업체 구분별로 살펴보면, 단독 사업체 수는 2만 9358개, 종사자 수는 7만 4662명이고, 본사·본점 등은 사업체 수 351개, 종사자 수 3,134명이며, 공장, 지사·지점, 영업소는 사업체 수 2,090개, 종사자 수 1만 6398명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