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서비스업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437
한자 -業
영어공식명칭 Service Industry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장섭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상품 판매, 교통, 음식, 숙박, 관광 등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 관련 업종.

[개설]

광주광역시의 서비스업은 고용 인원으로 보아 그 비중이 전국의 평균을 상회하나, 2차 산업의 기반이 취약한 가운데 1차 산업의 저생산성에 따른 노동력의 이동을 2차 산업에서 흡수하지 못한 결과로 3차 산업의 비중이 증대된 형태이다.

[고용 구조]

서비스업을 기업 수요 의존형과 최종 수요 의존형으로 나누어 각 업종별 고용 비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업 수요 의존형 서비스업의 비중이 최종 수요 의존형 서비스업보다 크며, 1981년에서 1991년까지의 증가율도 기업 수요 의존형 서비스업이 32.1%로 최종 수요 의존형 서비스업의 15.5%에 비해 2배 이상 높다. 이를 다시 연도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기업 수요 의존형 서비스업은 1981년~1986년, 최종 수요 의존형 서비스업은 1986년~1991년 사이에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특히 부동산 부문은 1986년까지는 변화가 없다가 1986년~1991년에 2배로 증가하였다.

1992년 말 광주광역시의 총 취업자 수는 47만 1000명이었으며, 이 중 3차 산업인 사회간접자본 및 기타 서비스업 취업자는 33만 5000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71.1%를 점하였다. 광주광역시의 서비스업 중 5명 이상의 종업원을 두고 있는 사업체의 종업원 수는 1981년 3만 722명, 1991년 5만 8048명이었다. 광주광역시의 서비스업 비중은 1981년 61.3%에서 1986년 66.3%로 증가하였다가 1991년 49.0%로 감소하였지만 그 비중은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편이다. 따라서 광주광역시의 서비스업은 그 규모가 영세하고 비숙련 노동력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구조면에서도 기업 수요 의존형 서비스업이 다소 취약하고 최종 수요 의존형 서비스업만이 양적으로 팽창한 상황이다.

[서비스업의 구조]

1989년 말 기준 광주광역시의 총 사업체 수는 44만 6078개였으며, 이 중 서비스업의 업체 수는 3만 9660개로 전체 사업체 수의 88.9%이다. 서비스업 가운데서도 도소매업 및 음식숙박업의 경우 2만 6442개로 가장 많은 업체 수를 보유하고 있으며, 사회 및 개인서비스업이 9,529개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