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식료품업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436
한자 食料品業
영어공식명칭 Foodstuff Industry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장섭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고기, 어패류, 채소류, 과일류 등과 같은 주 식품 이외의 것을 만드는 식품 관련 산업.

[개설]

식료품업은 농업, 임업, 어업 등에서 생산된 산출물을 사람이 먹을 수 있는 음식의 재료로 가공하는 산업이다. 통계청의 한국표준산업분류에서는 식료품업을 식료품 제조업으로 규정하고 있다.

[사업체 수 및 종사자 수]

광주광역시의 제조업[10인 이상] 사업체 수는 2015년에 1,118개이며 종사자 수는 6만 1958명이다. 그중 식료품 제조업의 사업체 수는 54개[4.83%]이며 종사자 수는 1,897명[3.06%]이다. 2016년에 사업체 수는 1,192개이며 종사자 수는 6만 4197명이다. 그중 식료품 제조업의 사업체 수는 60개[5.03%]이며 종사자 수는 2,021명[3.15%]이다. 2017년 사업체 수는 1,239개이며 종사자 수는 6만 6255명이다. 그중 식료품 제조업의 사업체 수는 67개[5.41%]이며 종사자 수는 2,236명[3.37%]이다. 2018년 사업체 수는 1,263개이며 종사자 수는 6만 5816명이다. 그중 식료품 제조업의 사업체 수는 71개[5.62%]이며 종사자 수는 2,347명[3.57%]이다. 2019년 사업체 수는 1,315개이며 종사자 수는 6만 4649명이다. 그중 식료품 제조업의 사업체 수는 80개[6.08%]이며 종사자 수는 2,382명[3.68%]이다.

[의의와 평가]

광주광역시의 식료품업은 그 종업원 수가 광주광역시의 제조업 가운데 네 번째로 많다. 전라남도는 농·수산업의 생산이 많은 지역이기 때문에 광주광역시는 이러한 원천이 집중되는 도시로서 동자원의 수집과 가공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최근에 그 수요가 증가하고 공해가 적다는 점에서 광주광역시는 낙농제품, 통조림, 가공저장 등 동식물성 유지, 제약공업, 장류, 조미료, 사료공업 등을 육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 『광주시사』3(광주광역시사편찬위원회, 1995)
  • 통계청(https://kostat.go.kr)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3.04.27 내용추가 [개설] 통계청 한국표준산업분류 내용 추가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