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420
한자 産業施設
이칭/별칭 산업 기반 시설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장섭

[정의]

광주광역시에 있는 생산 활동 기반 시설로, 광주광역시 산업의 육성·발전의 바탕이 되는 공공시설 혹은 사회적 기반 시설.

[개설]

산업 시설은 산업 기반 시설이라고도 하며, 기업의 생산 활동을 위해 필요한 사회적 기반 시설, 즉 산업 용지·도로·항만·용수·교량·철도·공항·발전 시설 등을 의미한다.

[교통]

광주광역시의 도로망은 관청·금융 등 중심 업무 기능을 담당하는 기관들이 집중된 금남로를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나 도시화가 진전되면서 도심 외곽지역으로 시가지가 확대되고 새로운 주택단지가 건설되면서 도로망이 도시 외곽으로 뻗어가고 있다. 한편 광주광역시는 항공, 철도, 고속도로, 그리고 여러 국도 노선이 교차하고 있는 교통의 결절지로서 호남권 방문의 관문 및 거점이 되고 있다. 때문에 각 지역을 잇는 도로망을 잘 갖추고 있는데, 국도와 지방도로를 통해 가까운 도시들과 연결되고, 호남고속국도를 통해 대전과 서울로 연결되며, 순천을 거치는 남해고속국도를 통해 부산, 그리고 88올림픽고속국도를 통해 대구와도 연결되고 있다. 도로는 총연장 1,604㎞로 고속도로가 17㎞, 일반국도가 93㎞, 시도가 1,494㎞를 차지하고, 이 도로 중 99.9%가 포장되어 있다. 제1순환도로가 개통되어 교통 체증을 많이 해소시켰고, 외곽에 제2순환도로가 2007년에 개통되었다.

지하철 1호선 공사가 1996년 2월 28일에 기공식을 하여 2004년 4월 28일에 1호선 1구간 녹동역~상무역이 개통되었고, 2008년 상무역에서 평동역까지 1호선 2구간이 개통되었다. 순환선인 2호선과 백운광장~서방시장~첨단지구로 연결되는 3호선 공사가 완공되면 광주광역시의 교통체계에서 지하철을 중심으로 한 많은 변화가 있을 것이다. 2호선의 경우, 2021년 6월 기준, 유덕동~중흥동까지의 1공구부터 6공구까지의 공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전체 공정의 약 27%를 달성하였다.

육상교통 중 도로교통은 도심에 분산되어 있던 고속버스터미널과 시외버스공영터미널을, 광천동의 광주공단이 주변공단으로 이전한 터에 광천동종합버스터미널로 통합·확장해 이용자들이 편리하게 되었다.

철도교통은 호남선 철도가 1914년에 개통되었고, 송정역에서 광주를 잇는 철도가 1922년에, 1934년에 광주~여수 간 철도가, 광주~담양 간 철도가 개통되었으나 일제강점기의 태평양전쟁 시기에 철거되어 현재는 곳곳에 노반만이 남아 있다. 호남선 중에서 대전에서 송정역까지는 복선화가 이루어졌고, 송정리역에서 목포역까지 복선화 공사가 2003년 완공되어 전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도심의 발전에 많은 장애를 가져온 경전선의 도심 통과 부분 중 효천역에서 광주역까지 구간을 철거하고 경전선호남선을 연결하는 구간이 신설되었다.

광주광역시 항공의 경우, 광산구 신촌동에 위치한 광주공항을 이용한다. 광주공항은 1964년 1월에 현 위치로 상무대 비행장을 옮긴 것을 시작으로 개항하여 김포, 부산, 강릉 노선을 운항하였다. 현재의 신 여객청사는 1994년 11월에 준공된 것이며, 1995년 6월부터 국제공항으로 정식 승격하여 방콕, 오사카의 국제 노선이 개설되었다. IMF의 여파로 1998년 국제선 운항이 중단되었으나, 2001년 상해 직항로가 생기는 것을 시작으로 발전하였다. 2008년 5월에 무안국제공항으로 국제공항 업무가 이관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