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산업 구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418
한자 産業構造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장섭

[정의]

광주광역시의 전체 산업에서 각 산업이 차지하는 구성 비율과 각 산업의 상호관계.

[개설]

모든 산업에서 각 산업이 차지하는 구성 비율을 산업 구조라고 하며, 경제 발전 정도를 가늠하는 지표로 활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산업 구조의 변화는 제1·2·3차 산업의 3단계 과정으로 분류한다.

[산업별 사업체 수 기준 산업 구조]

2019년 기준 광주광역시 사업체 수는 도소매업 3만 1799개[25.7%], 숙박·음식점 2만 742개[16.8%], 협회·수리·개인 서비스 1만 4132개[11.4%]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2018년 대비 사업체 수는 농업, 임업 및 어업[-7%]를 제외한 전기·가스·수도[57.3%], 운수 및 창고업[15.7%] 등 모든 업종에서 증가하였다. 조직 형태별로는 개인사업체가 9만 5747개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8년 대비 회사법인 사업체 수 비중이 7.1% 증가하였다. 종사자 규모별로 분류하면 1~4명 규모의 사업체가 9만 9468개로 가장 많으며, 2018년 대비 5~9명 규모의 사업체가 7.4%의 증가율을 보이며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산업별 종사자 수 기준 산업 구조]

2019년 기준 광주광역시 사업체 종사자 수는 도소매업 9만 4194명[14.9%], 제조업 8만 5858명[13.6%],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7만 3598명[11.6%], 숙박·음식점 6만 4721명[10.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018년 대비 종사자 수 증가율은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20.0%], 정보통신업[16.3%],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재생업[7.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직 형태별로는 회사법인 25만 9474명, 개인사업체 24만 7238명, 회사 이외 법인 9만 9768명, 비법인단체 2만 5396명순으로 나타났다.

[참고문헌]
  • 광주광역시(https://www.gwangju.go.kr)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 호남지방통계청(http://kostat.go.kr/regional/hn/index.action)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