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410
한자 失業率
영어공식명칭 Unemployment Rate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장섭

[정의]

광주광역시 경제 활동 인구에서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

[개설]

광주광역시의 실업률은 2015년 3.0%[2만 3000명], 2016년 3.1%[2만 4000명], 2017년 2.9%[2만 2000명], 2018년 3.8%[3만 명], 2019년 3.7%[2만 9000명]이다. 대한민국 전체 실업률과 비교했을 때, 2015년 3.6%부터 매년 약 0.1%씩 상승하여 2019년 3.8%까지 올랐다. 이를 보면 2018년 이전까지 광주광역시는 전국 실업률과 비교하여 낮은 실업률을 기록하고 있었으나, 2018년을 기점으로 전국 실업률과 비슷해진 것을 알 수 있다.

[광주광역시 고용 동향]

2020년 기준 고용 동향은 전년 대비 여성 고용률,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가 증가하였으며, 전체 고용률, 취업자 수, 상용근로자 수가 감소하였다. 2021년 2월 기준, OECD 고용률은 63.0%로 전국 고용률의 64.8%보다 적다. 실업자는 3만 4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8,000 명 증가하여, 2021년 2월 기준 4.4%의 실업률로 전국에서 7위이다.

[광주광역시 실업 대책]

광주광역시는 실업 해소 맞춤 훈련 등 취업 지원사업과 함께 시에서 일자리를 만드는 '광주형일자리'와 '청년일자리', 그리고 '여성일자리 창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일자리 정책의 예측 가능성과 일관성 제고를 위해 지역 특성과 실정에 맞는 일자리 전략을 수립하고, 일자리 정책의 비전과 목표에 입각해서 시정 기획, 예산, 평가, 보상체계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일자리위원회를 운영, 고용 영향 평가 추진과 현장과 소통하는 일자리 혁신투어 등 일자리 정책 혁신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장년층 생애 재설계 종합지원을 위한 '빛고을 50+센터'를 통해 중장년층 역량 활용을 위한 맞춤형 일자리 및 사회공헌활동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광주형 AI 뉴딜과 연계한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인공지능대학원 설립 등 AI 핵심인재 양성에 힘을 쏟고 있다.

[참고문헌]
  • 「2021년도 일자리대책 세부계획」(광주광역시, 2021)
  • 「2020년 광주통계연보」(광주광역시, 2021)
  • 광주광역시(https://www.gwangju.go.kr)
  • 호남지방통계청(http://kostat.go.kr/regional/hn/index.action)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