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마을기업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405
한자 -企業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안형수

[정의]

광주광역시 주민이 각종 지역 자원을 활용한 수익사업을 통해 공동의 지역 문제를 해결하고, 소득 및 일자리를 창출하여 지역공동체 이익을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설립·운영하는 마을 단위의 기업.

[개설]

광주광역시의 지역 인재와 자원을 동원하여 지역 문제를 해결하고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활동하는 공동체 기업이다.

[내용]

광주광역시 마을기업은 2009년 광주광역시의 희망근로 프로젝트로 시작되어, 2010년 광주광역시 자립형 지역공동체사업으로 실시되었다. 자립형 지역공동체사업은 광주광역시 자치구별로 선정된 5개 기업을 대상으로 시범적으로 실시되었다. 광주광역시 마을기업은 진입 단계별로 예비[초기], 신규[1차년도], 재지정[2차년도], 고도화[3차년도] 순으로 지원 단계가 구분된다.

마을기업의 유형은 크게 예비, 육성, 자립, 관리 등 관리 단계에 따른 유형과 청년, 재도약, 우수, 모두애, 신유형 등 목적에 따른 유형으로 나뉜다. 마을기업은 공공성과 공동체성, 지역성, 기업성 등 네 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지정을 신청할 수 있다. 최소 5인 이상이 출자한 법인이어야 신청 자격이 주어지고, 출자자 가운데 70% 이상이 지역 주민이어야 한다. 마을기업으로 지정받을 경우 최대 3차에 걸쳐 총 1억 원까지 사업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현황]

2020년 12월 기준 광주광역시에는 64개사가 마을기업으로 지정되어 운영 중이다. 마을기업은 전국적으로 2018년 기준 매출 1,645억 원으로 기업당 평균 1.1억 원에, 일자리는 1만 9261명으로 기업당 평균 12.9명을 창출하고 있다.

[참고문헌]
  • 『2020년 마을기업 육성사업 시행지침』(행정안전부, 2020)
  • 행정안전부(https://www.mois.go.kr)
  • 광주광역시청(https://www.gwangju.go.kr)
  • 사회적협동조합 살림(http://www.socialcenter.kr)
  • 위키백과사전(http://ko.wikipedia.org)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3.03.03 참고문헌 추가 광주광역시청(https://www.gwangju.go.kr) 추가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