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395
한자 硏究開發特區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차혜진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연구개발을 통한 신기술의 창출 및 연구개발 성과의 확산과 사업화 촉진을 위하여 조성된 특구.

[개설]

연구개발특구는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연구개발을 통한 신기술의 창출 및 연구개발 성과의 확산과 사업화 촉진을 위하여 광주광역시에 조성된 특구이다.

[비전 및 특화 분야]

광주광역시의 연구개발특구는 빛과 문화로 번영하는 세계적 혁신클러스터를 목표로 세계적인 광클러스터, 개방형 교류 협력 중심, 친환경 신녹색산업 거점, 미래 첨단소재산업 메카를 추진 전략으로 내세우고 있다. 특히 차세대 광기반 융복합, 친환경 자동차부품, 스마트 그리드, 디자인 문화 콘텐츠, 바이오 소재를 5대 특화 분야로 연구 개발하고 있다.

[계획]

광주광역시의 연구개발특구는 특구 내의 대학·연구소 및 기업의 연구개발을 촉진하고, 상호 협력을 활성화하며, 연구개발 성과의 사업화 및 창업 지원을 통하여 국가과학기술을 혁신하고 경제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조성계획을 수립하였으며, 광주광역시가 세계 수준의 연구개발 주도형 혁신 클러스터로 성장하여 세계 과학기술을 선도할 중심지가 되도록 육성할 계획이다.

한국광기술원을 비롯한 광산업 관련 연구기관이 집적되어 있는 광주광역시의 연구개발특구는 차세대 광융합 산업에 필요한 최적의 연구 역량 및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다. 연구개발특구에는 광주과학기술원, 전남대, 조선대 등의 대학에서 배출하는 고급 인력과 대량 생산 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어 연구 역량이 사업화되고 재투자되는 선순환 구조의 토대가 형성되어 있다. 연구개발특구의 '첨단1·2지구'는 광기반 융복합 기술로 세계적인 광클러스터를 건설할 계획이며, '첨단3지구'는 첨단기술의 교류 협력 중심지이다. 또한 '나노지구'는 나노기술로 미래 첨단산업의 중심지를 만들어 갈 것이며, '진곡·신룡지구'는 친환경기술로 신녹색성장의 거점으로 태어날 예정이다.

[연혁 및 변천]

2011. 01. 광주연구개발특구 지정[지식경제부 고시 제2011-13호]

2013. 11. 첨단2지구 개발 완료

2015. 12. 광주이노비즈센터 준공

2016. 06. 나노기술일반산업단지 개발 완료

2017. 05. 진곡일반산업단지 개발 완료

2018. 08. 광주연구개발특구 연구소기업 100호 지정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