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문화산업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391
한자 文化産業
영어공식명칭 Cultural Industry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차혜진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문화적 요소의 체화를 통하여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산업.

[개설]

문화산업이란 '문화상품의 생산·유통·소비와 관련된 산업'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문화상품은 문화적 요소가 체화되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유·무형의 재화와 서비스 및 이들의 복합체를 말한다.

[목표]

광주광역시 문화산업의 궁극적인 목표는 아시아 문화 중심도시 조성의 성공적인 추진과 문화도시의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다.

[내용 및 구성]

광주광역시는 문화도시 기반 조성을 위하여, "걷고 싶은 문화도시 조성, 공공디자인 고급화 등 쾌적하고 아름다운 문화도시 만들기, 역사와 문화자산이 살아 있는 도시 만들기, 공원·녹지·광장이 어우러진 친환경 생태도시 만들기, 문화예술이 접목된 스마트 도시 구축"을 통한 5대 문화권과의 연계 및 보완, 도시 전체에 문화적 환경의 조성을 실행하고 있다.

또한 문화예술 진흥을 위하여, 지역의 강점을 살린 국제적 문화예술 행사 육성 및 브랜드화, 광주비엔날레, 광주아트페어, 미디어아트 페스티벌 등 전국적 파급 효과와 국제적 공감이 가능한 특화사업 발굴 추진, '님을 위한 행진곡'의 대중화·세계화, '오월예술축제' 개최, 문화예술치유 메카도시 조성, 문화예술치유 스쿨 설립 및 문화예술치유지원센터 운영, 아시아 컬처 테라피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문화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문화산업 지원 기반 구축, 문화 콘텐츠 제작 및 마케팅 지원, 전문인력 양성 및 취업 지원, 문화산업 관련 기업 및 투자유치 활성화, 5대 콘텐츠[음악, 공예·디자인, 게임, 첨단 영상, 에듀테인먼트] 집중 육성, 미래 신성장 동력이자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문화산업 육성을 통해 아시아 문화 중심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 및 장기적 자생력 확보 목표,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첨단 융복합 문화산업에 대한 투자 확대, 첨단 실감 제작 클러스터 조성 추진, 한국문화기술연구원 설립·운영, 문화산업 생태계와 문화산업의 핵심동력을 만들 구심적 역할, 투자조합·투자진흥지구 운영 내실화 및 민자 유치 활성화를 수행하고 있다.

[변천]

광주광역시의 문화산업은 과거 2007년 수립한 종합계획에서는 광주광역시의 문화산업을 ① 문화전당권, ② 아시아 문화교류권, ③ 아시아 신과학권, ④ 아시아 전승문화권, ⑤ 문화경관·생태환경보존권, ⑥ 교육문화권, ⑦ 시각 미디어 문화권 등 7대 문화권으로 구분하였다.

광주광역시의 문화산업은 현재 2018년 수정계획을 통하여 ① 문화전당권과 ② 아시아 문화교류권은 문화전당·교류권으로, ③ 아시아 신과학권은 융합문화과학권으로, ④ 아시아 전승문화권은 아시아 공동체문화권으로, ⑥ 교육문화권은 미래교육문화권으로, ⑦ 시각 미디어 문화권은 그대로 시각 미디어 문화권으로 총 5대 문화권으로 통합 및 변동시켰다.

광주광역시의 문화산업은 미래 예향으로서 문화 콘텐츠에 대한 오랜 자부심과 민주, 평화, 인권의 도시로서 변화와 혁신에 대한 열린 자세를 갖추고 4차 산업혁명시대에 새로이 도약하고 역점산업인 문화 콘텐츠·정보 및 인지기술 융합산업의 진흥을 위한 전략을 수립, 다양한 지원을 통해 지역 산업과 경제를 진흥하여 이러한 기회를 풍요로운 미래로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