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에너지밸리 조성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388
한자 -造成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차혜진

[정의]

빛가람 에너지밸리 조성 사업으로 사업 추진 주체와 상호작용하는 광주광역시 전역에 걸친 사업.

[개설]

빛가람 에너지밸리 조성 사업은 '한국전력이 광주광역시·전라남도 공동혁신도시 이전을 계기로 지역 사회와 상생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추진 중인 사업'을 말한다.

[현황]

광주광역시 에너지 융복합단지는 도시첨단 산업단지에너지밸리 일반산업단지, 평동산업단지 1~3단지, 첨단산업단지 1~3단지, 빛그린국가산업단지에 총 8.4㎢에 걸쳐 지정되었다. 이 가운데 도시첨단 산업단지에너지밸리 일반산업단지가 핵심 거점 역할을 한다. 도시첨단 산업단지는 남구 압촌 및 지석동 일대 49만 5900㎡ 규모로 준공되며, 에너지밸리 일반산업단지도 2021년 말 준공된다.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한국전력의 주도로 추진되는 에너지밸리는 광주광역시·전라남도 공동혁신도시[빛가람]와 인근 산업단지에 에너지 신산업 기업 및 연구소를 집중 유치하고 있다. 또한 2020년 기준 261개 기업이 투자하였고 그 중 공장을 가동하고 있는 업체는 215개이다.

[내용 및 추진사항]

빛가람 에너지밸리 조성 사업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력 에너지 기술개발 협력사업을 추진하였다.

둘째, 한국전력 이전과 연계한 최초 공동 협력사업을 시행하고, '성장거점 연계 지역산업 육성사업'이라는 명칭으로 2014년 8월~2017년 7월[3년]에 광주광역시·전라남도 일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지방자치단체[광주광역시·전라남도], 한국전력, 지역 혁신기관 및 기업이 주관, 참여하였으며, 총 사업비는 87억 원[국비 35억 원, 시·도비 9억 원, 한국전력 27억 원, 민자 16억 원]이다. 사업 내용은 도서지역 하이브리드형 MG, MG형 ESS 개발, 네트워킹이다.

셋째, 에너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산업 생태계 조성사업으로 2015년 9월~2017년 8월[2년]에 광주광역시 일원에서 진행하였으며, 호남대, 광주TP, 한전KPS, 에너지와 공조, 전품연 등이 사업에 참여하였다. 총 사업비는 32억 원[국비 20억 원, 시비 4억 원, 한전KPS 4억 원, 민자 4억 원)으로 장·단주기 하이브리드형 ESS 실증 및 산업화를 주된 내용으로 하였다.

넷째, HVDC 기술개발 실증 및 산업화 사업을 추진하였다.

다섯째, 워크숍, 설명회 등을 개최하였다.

여섯째, 인력양성 사업의 일환으로 현장 적응형 인력양성 사업과 일자리 경진대회 참가를 통한 인력 양성을 시행하였다.

[목표 및 추진전략]

광주광역시 에너지밸리 조성 사업의 목표는 250개의 기업 유치와 매출 2조 원, 일자리 5,000개 창출, 세계 1등 기술을 20개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프라를 구축하고 기업을 유치하며, 전력 에너지 기술 개발과 인력 양성, 특화사업에 중점을 두고 전략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