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에어가전 및 공기산업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382
한자 -家電-空氣産業
영어공식명칭 Air Appliances and Air Industry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차혜진

[정의]

광주광역시에서 사업화 및 글로벌 강소기업을 육성하고 있는 에어가전과 시장 선점을 위해 기업을 지원하고 육성하는 공기산업.

[개설]

광주광역시는 미세먼지 등 공기질 악화와 규제 강화로 관련 시장이 크게 확대됨에 따라 시장 선점을 위한 공기산업 육성 및 기업 지원과 함께, 친환경 공기산업 집적도시 및 스마트 에어가전의 사업화 연계기술 개발(Research and Business Development, R&BD) 허브 구축으로 글로벌 강소기업을 육성하고 있다.

[내용]

에어가전 및 공기산업에서는 주요 개발 및 구축 방향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로 공간별 공기 오염원 분석 및 특화 정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다양한 실제 공간[학교, 식당, 병원, 지하 공간, 주택, 상업시설 등]에서 노출될 수 있는 미세먼지로부터 국민 건강을 보호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생활 밀착형 미세먼지 노출 저감 기술의 개발 및 실증을 수행한다. 또한 상업시설[직화구이 등] 미세먼지 저감 기술을 개발하고, 지하철 초미세먼지 발생 원인 분석과 저감 기술을 개발하고, 지능형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을 지하 역사에 설치하여 실제 현장에서 실증 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로는 공기청정기+사물인터넷[IoT] 융합 제품 개발이다. DB화된 미세먼지의 화학종 분석, 질량 분석 정보를 유해 정보와 연계하고 개인별 맞춤형 미세먼지 통합 정보를 제공하는 IoT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국민들의 미세먼지 대처 능력을 향상한다.

셋째로는 IoT 접목 스마트 통합 정보관리 시스템 구축이다. 초미세먼지 관련 정보 이용자[연구자, 연구 참여자, 일반 대중, 언론 선도층]의 고유 목적에 부합하는 초미세먼지 정보를 제공하는 IoT 접목 스마트 초미세먼지 정보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다양한 IoT 기기에서의 정보 시각화 지원, 정보 해석 및 활용 등을 통해 구축된 DB를 활용한 부가가치 창출을 지원한다. 환경에 대한 기술 구현[휴대전화 어플리케이션 및 웨어러블 기기의 소프트웨어 구현 등]을 통하여 실증 사업 병행 및 기업 연계를 지원한다.

넷째로는 공기 및 에어가전산업 클러스터 기업 유치 및 일자리 창출이다. 연도별 5개 기업으로 5년간 25개 기업을 유치하고, 연도별 100명으로 5년간 500여 명의 일자리를 창출한다.

마지막으로는 에어가전산업 활성화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협의체 구성이다. 공기산업 지역 기업 간 협의체 구성을 통한 에어가전 혁신제품 개발 협력과 지역산업 활력 제고 기반을 마련한다.

[참고문헌]
  • 광주광역시(https://www.gwangju.go.kr)
  • 광주광역시 공식 블로그(https://blog.naver.com/dodreamgj)
  • 한국공기산업진흥회(https://kaipa.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