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347
한자 光州全南共同革新都市
영어공식명칭 Gwangju Chonnam Joint Innovation City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주영

[정의]

대한민국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서 추진하는 지방균형발전 계획도시사업에 의거하여 이전하는 공공기관들을 수용하기 위해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가 전라남도 나주시에 건설한 미래형 도시.

[변천]

2005년 6월 24일 공공기관 이전 계획이 최종 발표되면서 대한민국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서 추진하던 지방균형발전의 일환인 혁신도시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에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는 2005년 8월 22일 공동으로 '공공기관이전추진협의회'를 구성하여 혁신도시 공동 유치에 나섰다. 2005년 11월 20일 공동혁신도시건설 입지가 전라남도 나주시 금천지역 일원으로 확정되었으며, 2006년 혁신도시 건설을 위한 컨설팅, 기본 구상을 위한 연구용역 등이 이뤄졌다. 이에 2006년 10월 혁신도시 기본 구상이 '하나로 빛나는 초광역 첨단미래산업 클러스터'라는 비전으로 수립, 발표되었다. 2007년 10월 본격적으로 공사를 착송하여 2014년 혁신도시 건설 및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 등이 완료되었으며, 2014년 2월 24일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동[법정동이자 행정동]이 신설되었다.

[현황]

2021년 2월 기준 총인구 3만 7350명으로 2014년 2월 첫 입주민이 입주한 이후 꾸준히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초기 자족형 독립 신도시로서 계획했던 인구 5만 명에 근접해 가고 있다. 또한 2022년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가 개교하였으며, 이에 따라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산·학·연·관의 혁신도시라는 건설 목표도 달성하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 이전 기관 중 에너지 기관으로는 한국전력거래소[2014년 8월 이전], 한국전력공사(주)[2014년 8월 이전], 한전 KPS(주)[2014년 8월 이전], 한전KDN(주)[2014년 10월 이전] 등이 있으며, 방송통신기관으로는 우정사업정보센터[2013년 3월],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2014년 3월], 국립전파연구원[2014년 6월 이전], 한국인터넷진흥원(2017년 7월) 등이, 농업지원기관으로는 농식품공무원교육원[2013년 12월 이전], 한국농어촌공사[2014년 8월 이전],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2014년 9월 이전],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15년 5월 이전],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2019년 2월 이전] 등이, 문화예술기관으로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2014년 2월 이전], 한국콘텐츠진흥원[2014년 2월], 금융기관으로는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2014년 12월 이전] 등이 있으며, 지금까지 총 16개 기관이 이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문헌]
  •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빛가람(http://innocity.bitgaram.go.kr/web)
  • 국토교통부 혁신도시발전추진단(http://innocity.molit.go.kr/v2)
  • 국가통계포털 나주 빛가람동 주민등록인구 통계(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04005N&conn_path=I2)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3.03.15 현행화 [현황]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개교 현행화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