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189
한자 金弘斗
영어공식명칭 Kim Hongdu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효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79년 3월 9일연표보기 - 김홍두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16년 - 김홍두 대한광복회 가입
활동 시기/일시 1920년 7월 - 김홍두 중국 상하이 망명
활동 시기/일시 1920년 11월 27일 - 김홍두 광주지방법원에서 징역 3년형 선고
활동 시기/일시 1921년 8월 - 김홍두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1년 6월형 확정
활동 시기/일시 1926년 - 김홍두 전라남도 장성에서 붙잡혀 3개월간 옥중 생활
몰년 시기/일시 1933년 7월 31일연표보기 - 김홍두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77년연표보기 - 김홍두 대통령 표창 수여
추모 시기/일시 1991년연표보기 - 김홍두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출생지 전라남도 광산군 서창면 서창리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갑동 산 23-1]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대한광복회 회원

[정의]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광주 지역 출신의 독립유공자.

[개설]

김홍두(金弘斗)[1879~1933]는 1879년(고종 16) 전라남도 광산군 서창면 서창리[지금의 광주광역시 서구 서창동]에서 태어났다. 38세이던 1916년 대한광복회에 가입하여 독립운동을 시작하였고, 1920년에는 중국 상하이[上海]로 가 임시정부를 도와 임무를 수행하였다.

[활동 사항]

1916년 대한광복회에 가입한 뒤 본격적으로 독립운동을 시작하였다. 대한광복회는 박상진(朴尙鎭), 채기중(蔡基中) 등을 중심으로 1915년에 결성된 혁명 단체로, 주로 군자금 모집과 친일파 처단 등의 활동을 펼쳤다. 1918년 대한광복회 조직이 발각되어 함께 활동하던 인물들이 붙잡혀 피신하던 중 1920년 7월 중국 상하이로 망명하였다. 상하이에서 안창호(安昌鎬), 김구(金九) 등 임시정부 요인들과 접선하여 군자금 모집, 독립운동 조직 강화라는 목적을 가지고 국내에 잠입하였다. 이후 각 지역의 청년회와 연락하여 임시정부의 통신기(通信機) 설치에 힘쓰는 등 임무를 수행하였다.

김홍두는 임무 수행 중 전라남도 나주에서 붙잡혀 1920년 11월 27일 광주지방법원에서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았다. 그 뒤 1921년 3월 8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1년 6월형을 확정받고 옥고를 치렀다. 형기를 마치고 출옥한 뒤에도 군자금 모집을 위해 활동하다가 1926년 전라남도 장성에서 붙잡혀 다시 3개월간 옥고를 치렀다.

[묘소]

2017년 9월 3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제1묘역에 안장되었다.

[상훈과 추모]

1977년 대통령 표창을 수여하고,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