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181
한자 趙璣錫
영어공식명칭 Jo Giseok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효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07년 11월 24일연표보기 - 조기석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28년 6월 25일 - 조기석 이경채 복교 관련 진정서 제출 및 동맹 휴교 결의
활동 시기/일시 1928년 6월 30일 - 조기석 맹휴중앙본부 경비부 학생들과 함께 홍헌종의 배신행위 응징
활동 시기/일시 1928년 11월 6일 - 조기석 대구복심법원에서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건 위반 및 상해죄로 징역 6월, 집행유예 3년 선고받음
몰년 시기/일시 1931년 2월 27일연표보기 - 조기석 사망
추모 시기/일시 2013년연표보기 - 조기석 대통령 표창 추서
출생지 전라남도 광주부 학강정 880
거주|이주지 전라남도 광주군 광주면 양림리 242
학교|수학지 광주제일고등학교 - 광주광역시 북구 독립로 237번길 33[누문동 144]지도보기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 경력 광주고등보통학교 학생

[정의]

일제강점기 광주고등보통학교 동맹 휴교를 주도한 전라남도 광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개설]

조기석(趙璣錫)[1907~1931]은 전라남도 광주부 학강정(鶴岡町) 880[지금의 광주광역시 동구 학동]에서 태어났으며, 전라남도 광주군 광주면 양림리 242번지[지금의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에서 거주하였다. 광주고등보통학교[지금의 광주제일고등학교] 재학 중에 동맹 휴교를 결의하고, 1학년생 홍헌종(洪憲鍾)의 배신행위를 응징하였다.

[활동 사항]

1928년 6월 8일 광주고등보통학교 5학년 학생인 이경채(李景采)가 「치안유지법」 위반 등의 사건 피의자로 구속된 뒤 1928년 6월 19일 퇴학을 당하였다. 이에 조기석을 비롯한 광주고등보통학교 5학년 학생들은 이경채가 무죄가 될 경우 복교할 수 있도록 일본인 시라이[白井] 교장에게 간청하였으나 교장은 이를 귀담아듣지 않았다.

1928년 6월 25일 조기석과 학생들은 진정서를 제출하고 진정서의 목적을 관철하기 위해 동맹 휴교를 결의하였다. 1928년 6월 26일 진정서를 교장에게 제출한 뒤 동맹 휴교에 들어갔으나, 1928년 6월 27일 일본인 교장은 동맹 휴교에 참석한 학생 중 27명을 퇴학, 기타 280명을 무기정학에 처하였다. 이에 항의하는 동맹 휴교가 다시 확산되었다.

1928년 6월 26일 동맹 휴교를 지도하는 맹휴중앙본부에서는 동맹 결속을 강화하였으며, 동맹 결속을 위반하는 자가 있는 경우 제재를 가할 것을 결의하고 동맹 휴교를 단행하였다. 그러나 1928년 6월 30일 광주고등보통학교 1학년생 홍헌종이 담임 교원인 복중중행(福重重行)의 집을 방문한 사실을 발견하고, 조기석은 맹휴중앙본부 경비부 학생들과 함께 홍헌종의 배신행위를 징계·응징하였다.

조기석은 1928년 7월 13일 '폭력 취체 규칙 위반급 상해죄'로 광주지방법원 검사국에 기소되었으며, 1928년 8월 13일 징역 8월을 선고받고 광주고등보통학교 당국으로부터 퇴학 처분을 받았다. 이후 1928년 11월 6일 대구복심법원에서 '폭력 행위 등 처벌에 관한 건 위반 및 상해죄'로 징역 6월, 집행 유예 3년을 선고받았다.

조기석은 1931년 2월 27일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2013년 대통령 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